문재인 대통령이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열리는 8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23일 1박 2일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한다.
문 대통령은 방중하는 동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및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각각 개별 정상회담도 할 예정이어서 북한의 비핵화 촉진 방안 모색은 물론, 한일관계 회복을 가늠하는 전기가 될 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시 주석과의 회담은 지난 6월 일본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에 이은 6개월 만이며, 아베 총리와는 지난해 9월 뉴욕 유엔총회 당시에 이은 1년 3개월만의 공식 만남이다. 한일 정상은 지난달 4일 태국에서 11분간 '짧게' 환담한 바 있다.
시 주석과는 한중 양자관계 진전을 위한 논의는 물론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한반도 상황을 타개하려는 단초를 마련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여러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와는 대한(對韓) 수출규제 철회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복귀 등 한일관계 정상화에 대한 담판을 벌인다.
우선 문 대통령은 23일 중국 베이징에 들러 시 주석과 회담한 뒤 오찬을 한다. 북한의 비핵화를 둘러싸고 긴장 국면을 보이고 있는 한반도 상황에 대한 점검은 물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한반도 배치와 관련된 갈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논의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만남 직후 곧바로 청두로 이동,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 양자회담을 하고 만찬을 이어간다.
이어 문 대통령은 24일 오후 아베 총리와 회담을 갖고 양국 현안을 논의한다. 이번 회담에서는 일본의 수출규제와 지소미아 등 현안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이 한일 정상 간 담판을 나흘 앞둔 지난 20일 반도체 소재인 포토레지스트에 대한 수출규제 완화 조치를 하면서 성의를 보이는 듯한 모습을 보였지만, 청와대가 '충분하지 않다'는 입장을 내놓은 만큼 정상 간 합의 수준이 주목된다.
수출규제 조치의 단초로 작용한 강제징용 문제가 단시일 내에 해결될 사안이 아니라고 볼 때, 가시적인 일괄 타결보다는 해결에 대한 공감대를 유지하는 선에서 결론이 도출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편 한중일 3국 정상은 이번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공동언론발표와 환영오찬 및 한중일 20주년 기념행사도 갖는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논의가 탄력을 받을 수 있으리라는 전망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