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경북도청 신도시 내 한 버스정류장. 경북 예천군 호명면 소재지인 이곳 버스정류장은 철골과 유리를 이용해 겨울철에도 추위를 피해 버스를 기다릴 수 있도록 한 신도시에 걸맞은 세련된 모습을 선보였다.
하지만 수백여m 떨어진 신도시 내 다른 버스정류장은 일반 버스정류장에 바람을 막을 수 있는 비닐막이 둘러쳐진 것이 전부다. 중학교 앞인 이곳은 소재지가 안동시 풍천면으로 관리하는 지자체가 달랐다.
경북도청 신도시 내 주민편의시설이 안동시와 예천군의 담당지역별로 차이를 보여 주민과 방문자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양 지자체에 따르면 안동시는 경북도청 신도시 내 3개 정류장에 한파 저감시설로 비바람 가림막을 설치했다. 비닐로 된 가림막 설치비용은 1곳 당 100만원 수준이다. 이 마저도 3곳 중 한곳은 국비를 지원받아 설치했다.
하지만 예천군은 지난해 추경을 통해 도비 지원을 받아 8천만원의 예산을 세우고 신도시 내 5개 정류장에 유리로 된 완전한 휴게소 형태의 정류장을 재설치했다. 이 시설은 1개소당 1천100만원이 투입됐다.
한파 저감시설은 모든 버스정류장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승강장 대기시간이 긴 노선을 고려해 설치됐다. 두 지자체 간 사업비 투입 차이는 11배나 난다.
주민들은 두 지자체 간 편의시설과 밀접한 행정업무에 대한 소통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어 피해는 주민들에게 돌아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버스정류장뿐만 아니라 해충퇴치기도 예천군 소재 아파트 단지 인근에는 설치돼 있지만, 안동 소재지인 공무원 아파트부터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이런 현상은 두 지자체의 소통 부재로 파악된다. 경북도청 신도시 조성 초기에는 행정업무를 교류하며 민원을 해결하고자 했지만, 거주민이 늘어나고 민원의 발생빈도가 차이가 나면서 두 지자체가 서로 접수되는 민원만 해결하고 행정구역이 아니면 서로 미루는 일이 발생하는 것이다.
신도시 주민 조모(46) 씨는 "저는 사업장은 안동에 있고 사는 곳은 신도시 내 호명면인데 대부분 사람이 저와 비슷한 생활을 하고 있을 것"이라며 "어차피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투입하는 예산이라면 두 지자체가 협력해서 사업을 추진해주면 균형되게 신도시가 발전하고 더 좋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양 지자체 측은 "지자체별 각자 예산이 투입돼 재량으로 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추진하는 과정이 다를 수밖에 없다"며 "민원이 발생하는 만큼 비슷한 수준으로 맞출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