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교도소 밖은 난리지만 안은 천하태평입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경북북부제2교도소에 의료·방역 등을 담당했던 교도관 A씨는 교도소 내의 허술한 의료·방역시스템을 폭로했다.
A 교도관은 "이 큰 교도소에 의료와 방역을 함께 한사람이 담당하고 있으니 두 부분 다 소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A 교도관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교정청에서 소독에 집중하라는 공문이 내려온 뒤 모든 교도소의 담당들은 의료보다는 소독에 매진하고 있다는 것. 하루에 40~60ℓ 정도의 양을 분무통에 담아 어깨에 메고 면적 30만㎡(만평) 정도를 소독하다 보니 담당하는 교도관들도 곡소리를 내고 있다고 한다. 일부는 매일 고된 작업에 병원 신세까지 진다고 한다.
하지만 교도소 내 동료들은 오히려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A 교도관은 "노골적으로 소장님이 소독이 너무 싫다고 핀잔을 주는가 하면 타부서 직원들은 '너무 진하다', '민원인들의 민원이 많다' 등의 말을 하고 있어 힘이 더 빠지게 만든다"고 했다.
A 교도관에 따르면 이런 분위기 때문에 소독을 하지 않고 서류상으로 소독을 했다고 보고하는 교도소도 있다는 것이다.
그는 "같은 업무를 보는 일부 교도소에서는 이런 분위기를 못 이겨 서류상으로 소독을 했다고 처리만 하고 실제로 소독을 하지 않는 곳도 많다"며 "어차피 같은 공간에 상급자들이 함께 있기 때문에 대부분 동의에 의해 이런 꼼수가 암암리에 이뤄진다"고 주장했다.
최근 방역에 집중하다보니 교도소 내 의료부분은 거의 손을 놓고 있다는 것이 A 교도관의 주장이다. 그는 교도소 내에 확진자가 발생했고 교도관보다 수용자들의 건강상태나 연령, 위생상태, 질병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을 고려하면 더 취약계층이며 감염에 노출되기 쉽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그는 법무부 차원에서 교도소 내 방역과 의료에 대한 대처 매뉴얼이 확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A 교도관은 "방역보다 오히려 중요한 것이 수용자의 의료부분인데 이를 놓이고 있는 것 같아 안타깝다"며 "인력을 늘리던지 외부 진료체계를 더욱 유동적으로 열어 수용자에 대한 최소한의 의료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