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콜센터, PC방 등 많은 사람이 장시간 밀집하는 사업장은 코로나19 의심증상 직원을 휴무토록 해야 한다. 위기 시 재택·유연근무를 적용하고 출퇴근 시간과 좌석 간격도 넓혀야 한다.
1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고위험 사업장 공통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지침)'을 제시하기로 했다. 전날 나온 서울 구로구 콜센터 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집단감염이 계기다.
이날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근무환경이 감염에 취약한 사업장을 관리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가 됐다"면서 "침방울(비말)로 인한 감염 위험성이 큰 사업장과 시설에 적용되는 관리지침을 검토했다"고 발표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정부는 이 지침으로 밀집사업장에 재택·유연·온라인활용 근무 방안을 마련할 것을 권고한다. 출·퇴근 시간 및 점심시간 조정, 사무실 좌석 간격 조정 등 근무환경의 밀집도를 완화할 방안도 각자 마련토록 할 방침이다.
종사자·이용자 관리도 강화한다. 종사자를 상대로 1일 2회 발열·호흡기증상 확인, 유증상자 출근 중단·업무배제, 종사자·방문자 목록관리 등에 나서도록 주문한다.
손 소독제 비치, 주기적 환경소독·환기, 감염관리 전담직원 지정 등의 예방조치 마련도 권고한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오늘 논의 결과로 고위험 사업장의 공통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콜센터처럼 비말을 통한 집단감염 가능성이 큰 곳으로 PC방, 클럽, 스포츠센터, 학원 등을 꼽았다. 소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는 이 같은 사업 유형별 감염관리 지침을 마련해 배포할 계획이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사업장마다 다른 업무 특성을 고려해 "표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사업장의 특성에 맞게 지침을 조정하는 부분은 따로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영업정지 등 강제조치 여부도 소관 부처에서 판단할 부분"이라고 부연했다.
수도권 경우 확진자가 늘면서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통한 감염 가능성도 커진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지하철 내 감염관리는 강화할 필요가 있다. 서울과 경기, 인천에서 강화방안을 자체적으로 준비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전한길, 김건희 만나나…"방문 요청 받아, 죽을 만큼 범죄 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