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에 편의점 가맹점주들이 쌓이는 적자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확진자가 다녀갔을 경우에만 휴업에 불이익이 없다보니 고객 급감으로 매출이 확 줄어도 대부분 점포는 울며 겨자 먹기로 영업을 계속하거나 불이익을 감수하고 휴업하는 실정이다.
국가통계포털 KOSIS에 따르면 지난 1월 편의점 판매액은 2조604억원으로 전달(2조996억원)에 비해 13% 감소했다. 업계는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한 2, 3월 매출은 이보다 훨씬 큰 폭으로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계속되는 적자에 점주들은 "이제는 더 이상 못 버틴다"며 편의점 본사 측의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난달 30일 대구 북구 경북대 인근에서 만난 편의점주 A(65) 씨는 심야 시간대(0시~6시) 단축영업 신청서를 작성하고 있었다. 단축영업을 하면 월 정산금을 본사와 나눠 갖는 배분금 비율을 기존의 70%에서 65%로 줄여야 하고, 본사가 절반을 부담하는 전기세를 전부 내야 하며, 감기약 등 비상의약품 취급도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불이익을 감수하고 내린 결정이었다.
A씨는 "심야에 운영해도 평균 매출이 10만원밖에 되지 않는데 인건비 등 고정비용은 12만원 가량"이라며 "대학생 유동 인구가 크게 줄어 매출이 회복될 기미가 없다"고 토로했다.
대구 중심가인 범어동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B(50) 씨도 걱정이 태산이다. B씨는 폐업을 고민하고 있지만 애초 맺은 5년 계약기간을 못 채워 계속되는 적자에도 영업을 지속하고 있다.
B씨는 "수천만원의 위약금을 토해내야 해 폐업도 못 한다. 본사에 강력히 주장해 주말에는 영업을 쉬고 있는데 언제까지 이래야하나 싶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는 조건없는 휴업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협회 관계자는 "일괄적인 가맹수수료 인하나 영업 지원금 지급 등 휴업을 지원하고 폐업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