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의 새 원내 사령탑에 지난달 총선에서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꺾고 5선 고지에 오른 주호영 의원(대구 수성갑)이 선출됐다. 대구경북이 지역구인 의원이 원내대표가 되기는 지난 2015년 유승민 당시 새누리당 의원이 원내대표를 맡은 이후 5년 만이다.
주 원내대표에게 축하보다는 채찍질이 필요할 것 같다. 주 원내대표 앞에 놓인 과제가 전례 없이 막중하기 때문이다. 현재 통합당이 처한 현실은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로 임하지 않으면 안 될 만큼 위태롭다. 우선 내부적으로 총선 참패의 후유증을 어떻게 수습하느냐가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총선 뒤 통합당은 왜 참패했는가에 대한 진솔한 자기 진단이 없었다. 대신 '김종인 비대위'를 두고 되느니 안 되느니 집안싸움을 벌였다. 지지율을 20% 밑으로 곤두박질하게 한 '자해'(自害)였다. 이 분란은 지금도 내연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한 당의 총의를 모아 내는 게 주 원내대표의 최우선 과제다. 참패 원인에 대한 현미경 분석과 회생의 길 모색은 물론이다.
대외적 난제는 더욱 엄혹하다. 총선 직후 21대 국회에서 여권은 압도적 의석을 바탕으로 국회 운영을 힘으로 밀어붙일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이를 확인해 주듯 더불어민주당의 김태년 신임 원내대표는 "통합당 새 원내대표와 협의에서 '일하는 국회법'을 먼저 통과시키겠다"며 일전(一戰)을 예고했다.
'일하는 국회법'의 내용을 보면 독주하겠다는 뜻이 그대로 드러난다. 우선 국회 법제사법심사위원회의 체계 자구 심사권 폐지이다. 이 권한은 야당이 여당의 입법 독주를 막는 수단으로 활용돼 왔다. 이를 폐지한다는 것은 야당이 반대하는 법안을 머릿수로 밀어붙이겠다는 것으로밖에 해석할 수 없다.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 처리 기간을 최대 330일에서 45일로 단축하는 내용도 마찬가지다. 역시 야당이 반대하는 법안을 지금보다 더 빨리 처리하겠다는 의도이다.
국회법이 이렇게 바뀌면 우리의 의회 민주주의는 '다수 독재'로 전락한다. 주 원내대표는 이를 막는 선봉에 서야 한다. 매우 힘든 싸움이 될 것이다. 비상한 각오와 결기로 무장해야 한다. 여기서 지면 통합당은 두 번 죽는 꼴이 된다. 그런 점에서 주 원내대표는 가혹한 시험대에 섰다고 하겠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