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TK 중진 국회 상임위원장 '경쟁' 아닌 '합의'

윤재옥 의원에게 김상훈 의원 양보 '교통정리'

김상훈, 윤재옥 미래통합당 국회의원. 매일신문 DB
김상훈, 윤재옥 미래통합당 국회의원. 매일신문 DB

대구경북(TK)의 미래통합당 소속 3선 국회의원 두 명이 21대 국회 상임위원장 자리를 두고 경쟁하는 '불상사'는 없을 전망이다. 연장자인 윤재옥 의원(대구 달서을)이 상임위원장을 맡을 수 있게끔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이 물러섰다가 후반기에 상임위원장직에 도전하기로 '교통정리'가 됐다.

최근 대구의 한 행사장에서 마주친 두 의원은 이 같은 '대승적 합의'를 이뤘다. 여기엔 나름의 이유가 있다.

국회 관례상 18개 상임위원장직은 교섭단체별 의석수에 따라 배분되는데 통합당은 84석이라는 의석수 탓에 6~7개 상임위원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상임위원장직은 통상 3선 이상 중진 의원이 맡는 게 관행이며, TK 정치권에서 상임위원장에 도전 가능한 의원은 이 두 명의 의원이 전부다. 현재 통합당에서 상임위원장에 도전할 수 있는 3선은 모두 15명이다. 이 때문에 전반기에 TK 정치권이 얻어낼 수 있는 상임위원장 자리는 한 군데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두 의원은 "최근 주호영 원내대표(대구 수성갑 당선인)도 합의를 당부했던 터라 자연스럽게 교통정리가 됐다"고 했다. 두 명의 의원 모두 국토위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아직 여야가 국회 원 구성 협상에 돌입하지 않았기에 속단하기 이르나 단순 계산으로 보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10~11개 상임위원장직을 확보할 수 있다. 더불어시민당과 합당으로 전체 의석의 60%에 달하는 177석이 됐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기획재정위원장과 국토교통위원장, 외교통일위원장, 국방위원장 등을 탐내고 있어 TK 두 의원에게 국토교통위원장직이 배정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또한 국회에서 정부 예산을 다루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를 받아내는 대신 법제사법위원회의 체계·자구 심사권 폐지를 전제로 법사위원장직을 야당에 넘기는 것을 고려 중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