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지역 내 자원으로 코로나19의 제2차 대유행에 맞설 수 있도록 방역 역량 강화에 나섰다. 대유행 예상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검사 및 역학조사 인력을 확충하고, 병원으로 몰리는 확진자를 분산하고자 중증도에 따라 환자 분류체계를 개선한다. 아울러 감염 고위험군 전담 시설을 지정하고, 방역물품과 의료장비 등도 비축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26일 제5차 범시민 대책회의를 통해 앞으로 있을 수 있는 코로나19 2차 대유행 대비계획을 밝혔다. 대응책의 주요 내용은 ▷검사와 역학조사 강화 ▷병상·의료인력과 생활치료센터 확보 ▷고위험군과 사회복지시설·요양병원 관리 ▷방역물품·의료장비 확보 등이다. 이를 위해 시비 1천14억원을 포함해 모두 1천987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시는 2차 대유행 때 대구 인구의 0.5%인 1만2천 명이 감염될 것으로 가정하고, 지역 내 자원만으로도 방역할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했다. 하루 최다 확진자(401명) 발생일 기준으로 최다 검체검사 건수와 최대 격리자 수, 병원 수요, 중환자실 입원 등을 고려했다.
우선 확진자를 밝혀낼 수 있는 첫 단계인 검체·검사 역량을 강화한다. 보건소를 통한 검체 건수를 하루 3천630건에서 9천80건까지 늘린다. 워킹 스루와 드라이브 스루 등 검사장소를 분산해 역량을 극대화한다는 것이다. 보건환경연구원의 검사도 하루 300건에서 1천 건으로 확대하고, 자체검사가 가능한 병원도 6곳(1천710건)에서 7곳(2천 건)으로 늘린다. 역학조사관도 6명에서 30명으로 확충한다.
확진 후 바로 병원으로 입원하던 방식도 개선한다. 사태 초기부터 병원과 생활치료센터를 동시에 가동해 중증도에 따라 입원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무증상자나 경증환자는 병원이 아닌 생활치료센터로 옮겨 치료를 받게 함으로써 증상이 심한 환자가 병원에 입원하지 못하는 상황을 예방한다는 취지다.
확진이 됐을 때 입원이 어려웠던 고위험군에 대한 대비계획도 수립한다. 장기요양환자와 정신질환자, 임산부, 아동 등을 전담할 시설을 지정해 피해를 최소화할 작정이다. 또 취약했던 사회복지생활시설과 요양병원 등에 대한 관리도 단계별 시나리오를 적용한다.
김종연 대구시 감염병관리지원단 부단장은 "2차 대유행은 전국에서 확진자가 발생한다는 가정으로 대구 자체의 역량으로 대비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웠다"며 "특히 1차 유행 때보다 더 상황이 심각할 것으로 보고 확진자 발생 단계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