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해남부선 전동차 운행, 포항역까지 연장해야"

경북도·경주·포항·울산, 25일 대정부 건의안 채택 예정

포항~울산 복선전철 사업구간 노선도
포항~울산 복선전철 사업구간 노선도

내년 6월 개통 예정인 동해남부선 전동차 운행을 경북 포항역까지 연장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신도시 건설, 관광단지 개발 등에 따라 철도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만큼 전동차 운행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24일 경상북도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현재 복선전철화사업 공사를 진행 중인 동해남부선이 준공되면 준고속열차가 부산~울산~경주~포항 전 구간에 운행할 예정이다. 반면 전동차는 부산 부전~울산 태화강역까지만 다닌다.

하지만 경주·포항·울산 등은 준고속열차의 운행횟수가 적어 지역민 수요를 충족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동해남부선 모든 구간에 준고속열차와 전동차가 함께 다니면 부산과 울산, 경주와 포항 간 접근성이 크게 향상돼 관광 활성화는 물론 경제 회복에 큰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다.

이들 자치단체(해오름동맹)는 25일 울산시청에서 회의를 갖고 경북도와 함께 '동해남부선 전동차 연장운행 건의문'을 정부에 전달할 방침이다. 울산 송정역과 신경주역 전동차 연장운행을 위한 시설개선 사업비 약 366억원을 정부가 부담해달라는 요청도 할 계획이다. 자치단체장들은 건의문을 통해 "철도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부산 부전~울산 태화강역까지만 전동차를 운행하면 동해남부선 개통 효과가 반감될 것"이라고 강조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해오름동맹 회의에 이어 경북도와 울산시의 우호교류협약 체결도 예정돼 있어 관심을 끈다. 두 자치단체가 1대1로 교류협약을 맺는 것은 처음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요청한 전국체전 1년 순연과 관련해 송철호 울산시장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도 주목된다.

양 자치단체가 5, 6개 항목의 안건으로 협약 체결을 추진 중인 가운데 울산시 현안인 취수원 다변화 문제가 포함될지도 관심사다. 울산시는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한 사연댐 수위 조절을 위해 경북 청도 운문댐 물 활용을 원하고 있다. 경북도는 "운문댐 물 대부분을 쓰는 대구시와 협의할 부분"이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대승적인 협조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