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대규모로 확산했던 2월 하순부터 3월 초까지 대구경북에서 환자 1명이 3명을 감염시켰다는 분석이 나왔다.
29일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기모란 교수와 최선화 연구원은 통계개발원 계간지 'KOSTAT 통계플러스'에서 '수학적 모델링(SEIHR)을 활용한 코로나19 감염병 유행 관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분석결과 코로나19 31번째 확진자가 발생한 2월 18일부터 3월 4일까지 대구경북 지역의 '감염재생산지수'를 추정한 결과, 이 지역의 감염재생산지수는 3.4764로 나타났다.
감염재생산지수란 환자 한 명이 몇 명을 감염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것으로, 지수가 3이면 한 명의 확진자가 3명에게 병을 옮겼다는 뜻이다. 지수가 1보다 크면 환자 수가 늘어날 수밖에 없고, 1보다 작아지는 시점부터 코로나19 유행은 감소세로 돌아선다.
저자들은 향후 감염병 유행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을 국내 상황에 맞게 바꿔 분석했다.
코로나19 초기 유행단계였던 1월 20일부터 2월 17일까지 국내 감염재생산지수는 0.5555였다. 또 2월 초 중국 후베이성의 감염재생산지수는 4.2655라고 분석했다. 확진자 한 명이 네 명 이상을 감염시킬 정도로 유행이 퍼지는 속도가 빨랐던 셈이다.
저자들은 "31번째 확진자부터 나타난 대구경북의 유행은 매우 빠르고 큰 규모로 나타났다. 하지만 방역 당국의 적극적인 코로나19 검사로 환자들의 감염 전파 기간이 짧아지고, 국민들의 마스크 쓰기,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감염 예방 조치 적극 참여 효과로 인해 전파율이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 "감염재생산지수가 1보다 작아져 유행이 감소세로 전환할 수 있으려면 전파율을 72% 이상 줄이거나 전파 기간을 28시간 이하로 감소시켜야 한다"며 "전파율 감소는 유행 기간·크기, 확진자 수를 줄이는 데 효과가 크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