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이 공공기관 지방 추가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김사열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위원장이 24일 "현재 수도권 인구 집중도는 고도 비만 상태"라며 수도권 인구 분산 필요성을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2일 여권 지도부를 비공개로 만나 공공기관 추가 이전에 대해 논의한 데 이어(매일신문 24일 자 4면) 이날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내 포럼 '자치와 균형' 모임의 강연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생태학에서 볼 때 동물의 경우도 자기에게 허락된 적절한 영역이 있는데 그것이 너무 좁아지면 출산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런 정도로 수도권의 심각한 상태의 인구 집중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000대 기업 본사 75%가 수도권에 있고 수도권 인구 비중이 작년 2019년 12월에 50%를 넘었다"며 "이것이 수도권 집중현상의 현주소"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또 "수도권에 젊은 사람들이 많이 와서 살고 있는데 실제로는 출산을 하지 않고 메이팅(짝짓기)하고 있지 않다"며 수도권 출산율 하락의 원인으로 인구 집중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를 꼽았다.
그는 "과도한 경쟁사회고, 부동산 값이 폭등해 주거공간 확보가 어렵고, 출산장려정책은 그렇게 매력적이지 않다"며 "교육의 경우에도 고등학교까지만 무상교육 실시하고 있고 대학에 대해서는 전혀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장기적 정책 대응으로 집중에서 분산으로 가야 하고, 이런 기회에 지역 뉴딜을 잘 진행해서 지역 경제가 불리해지지 않은 결과로 가도록 국가 단위에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수도권 대학 이전과 관련해선 "수도권 대학들은 대부분 사립대"라며 "공공기관처럼 강제성을 부여할 수 없다. 그런 고충을 저희들이 알고, 어려움이 있는 것을 알아서 (이전) 대상이 안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기업 본사 이전에 대해선 "기업이 나서주면 좋고, 그런(이전할) 조건을 우리가 만들면 성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정부여당은 지방 이전이 가능한 수도권 공공기관을 122곳으로 파악하고 있다. 대상은 공기업과 공기업 관련 기업 및 기관, 국책연구기관 등이 거론된다.
다만, 이날 청와대는 KBS, IBK기업은행, 산업은행 등의 지방이전 방안이 검토된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그런 방안은 검토된 바 없다"고 부인했다.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도 당내 회의에서 "세종은 행정수도, 서울은 경제수도가 돼야 한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김 위원장은 "청와대에서 내용이 정리된 후에 공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