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마흔도 이미 많다 말하는데 行年四十已云多(행년사십이운다)
오늘 한 살 더 먹으니 이거 정말 큰일났네 加一今朝又若何(가일금조우약하)
예서 또 우물거리다 쉰이 되고 말 것이니 從此逡巡爲半百(종차준순위반백)
안타깝네, 달리는 세월 멈출 수가 없다는 게 可憐無計駐頹波(가련무계주퇴파)
* 원제: 기축년 새 달력에 씀[題己丑新曆]
조선 전기의 시인 이정형(李廷馨·1549∼1607)이 마흔한 살 때, 새해 아침 새로 나온 달력에다 적어둔 시다. 해놓은 일이 아무것도 없는데, 막무가내 달려가는 세월에 대한 안타까움이 절실하게 포착되어 있다. 이제부터는 허송세월하지 않겠다는 결의도 행간에 깔려있을 터다. 물론 오늘날의 나이와 직접 비교를 할 수는 없지만, 아직 마흔하나에 불과한 시인이 이런 시를 쓰다니 엄살이 좀 심하다 싶기도 하다. 하지만 다음 글을 보면 엄살이라고 말할 수가 없다.
"새해 첫 닭이 이미 울었으니, 내 나이 이제 열여덟이 되었다. 열다섯이 되기 전까지는 세월이 흘러가는 것을 안타까워할 줄도 몰랐다. 열다섯이 된 뒤에야 비로소 흘러가는 세월을 근심하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새해 첫날 아침마다 반드시 베개를 어루만지며 스스로 이렇게 한탄하였다.
'내 나이가 올해 몇 살인가? 평소의 내가 하는 언행들을 돌이켜보면 단 한 가지도 내 나이에 걸맞은 것이 없으니 어찌 부끄럽지 않겠는가?'
이렇게 반성을 한 지도 이미 몇 년이 흘러갔으나… 지금 스스로 살펴보건대 처음 한탄을 했을 때와 이렇다 할 차이를 찾을 수 없다… 부끄러움이 극도에 달하여 두려워질 지경이니 얼굴이 붉어지고 등에 땀이 난다."
조선 후기의 학자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1711-1788)가 열여덟 살 되던 새해 아침에 지은 글이다. 흘러가는 세월과 뜨거운 승부를 벌이고 있는 새파란 애송이의 삶의 자세가 정말 숙연할 지경이다. 그런가 하면 이런 시를 지은 시인도 있다.
하루에 한 장씩 찢던 달력이 생각난다.
쇠털같이 많은 날이 겹겹이 쌓여 있어
아무리 찢고 찢어도 좀처럼 줄지 않던,
오지도 않던 날을 네댓 장씩 함께 찢어
비행기를 만들어서 이리저리 날리다가
코 풀고 휴지통에다 내동댕이쳐버렸던,
그러다 문득 보면 달랑 한 장 남은 것을
차마 찢을 수 없어 오랫동안 바라보던,
하지만 새 달력이 이미, 대기발령 중이던,
되다만 나의 시 '제야(除夜)'이다. 이렇게 되고말고 살아온 사람이 새해 벽두에 이정형의 시와 임성주의 글을 읽고 있자니, 아닌 게 아니라 부끄러움이 극도에 달하여 얼굴이 붉어지고 등에 땀이 난다. 눌더러 물어볼까, 도대체 올해 나는 몇 살이더냐?

이종문 시조시인, 계명대 한문교육과 명예교수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