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6일 이란 혁명수비대의 한국 국적 화학물질 운반선 나포 사태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응에 초당적 협력을 하기로 뜻을 모았다. 아울러 억류된 국민의 무사귀환을 위해 지혜를 모으기로 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송영길 국회 외통위원장은 국회에서 최종건 외교부 차관 등 정부 관계자들과 긴급간담회를 열어 상황을 설명하고 "여야를 넘어 힘을 합쳐 국민이 무사 귀환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으자"고 말했다.
이어 "이란 외교부 공식 입장은 우리은행·IBK기업은행에 동결된 70억달러 문제가 아니라고 하지만 사실 이런 게 (나포) 배경에 있지 않나 의심된다"며 "지난해 1월 3일 벌어진 미군의 솔레이마니 암살 1주기라 보복 분위기도 있고, 로하니 대통령이 임기 말을 앞두고 혁명수비대와 정부 당국 간 갈등이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대이란 제재에 동참하려고 석유대금을 동결한 것이 사태의 주된 원인이라는 것이다. 이 같은 추측 배경으로 억류 과정에서 이란 측이 증거사진 등을 제시하지 않았던 점을 들었다.
외통위 국민의힘 간사인 김석기 의원(경주)도 "반드시 무사 귀환할 수 있도록 여야를 떠나 최선을 다하겠다"면서도 "정부의 가장 중요한 책무는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김 의원은 "지난해 서해에서 국민이 북한군에 총살돼 시신이 불태워지는 상황에서도 살려달라는 절규를 외면했고, 동부구치소에서는 재소자 중 1천84명이 코로나19에 확진돼 2명이 사망하는 불행한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며 "정부는 외교와 국방 등 모든 부처가 나서서 우리 국민의 신속한 무사귀환을 위해 힘써야 할 것"이라고 쓴소리를 했다.
외교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억류 선박이 조기에 풀려날 수 있도록 이르면 6일 밤 고경석 외교부 아프리카중동국장을 단장으로 한 교섭 실무대표단의 이란 테헤란 파견 추진을 밝혔다.
하지만 사이드 하티브자데 이란 외무부 대변인이 "선박 억류 문제는 사법기관에서 법적 절차로 진행될 것이므로 외교적 방문이 필요하지 않다"고 밝혀 교섭에 난항이 예상된다.
댓글 많은 뉴스
'30번째 탄핵' 野, 崔대행 탄핵소추 발의…'줄탄핵' 무리수 비판 거세 [영상]
홈플러스, 회생신청서에 "17일부터 현금부족"… 5월 말 부도 예상
이재명 '대장동 재판' 증인 불출석… "또 안 나오면 과태료"
[속보] 민주당, 오후 2시 최상목 권한대행 탄핵소추안 발의
전한길 "李대표 사법리스크 때문에 대한민국 법치·공정 무너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