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섭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이 또 다시 반복된 방역당국의 피트니스업계 '왕따 조치'에 대해 문재인 정부가 청년실업을 만들어 내고 있다며 제대로 된 지원책과 형평성 있는 조치를 강력히 촉구했다.
7일 열린 국민의힘 비대위원회의에서 김재섭 위원은 "오늘 아침 비로소 당정이 '실내체육시설에 대한 영업금지 조치의 형평성 문제를 인지하고 그에 대한 보안책 마련을 고민하기 시작했다'는 언론보도를 접했다"며 "그러나 내용을 자세히 보면 17일까지는 현행 방역 조치를 유지한다고 한다. 게다가 전제 조건도 있다. '신규 환자 수가 꾸준히 줄어들어야' 17일 이후 집합금지 업종에 대해 제한적으로 운영을 허용하겠다는 방침이었다"고 했다.
그는 "애초 영업정지가 17일까지였다. 선심 쓰듯 총리가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고 하는 건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는 정치적 수사에 불과하다. 보상과 처우 개선 등 실효적 조치는 없었다. 책임 회피 말고, 말만 하지 말고 구체적인 보상 방안을 확실하게 이야기하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 8일부터 4주에 걸쳐 강행한 헬스장 등 실내체육시설에 대한 집합 금지 조치를 이달 17일까지 2주 더 연장하겠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지난해 3월 4주, 8월 3주 '영업 정지'를 당하고 11월 24일 '제한 운영' 조치 2주에 추가로 4주 더 영업이 정지됐던 전국의 헬스장 약 1만 곳의 운영주는 이번 정부의 조치에 강하게 반발했다. 정부는 태권도, 발레 등 학원으로 등록된 소규모 체육시설만 일부 영업을 허용하기로 하고 헬스장은 쏙 뺐다.
김재섭 위원은 이어 "이번에 정부가 실효적인 보상 없이 영업정지를 풀지 않으면 2주 뒤에 피트니스 업계 다시 일어나기 힘들다. 실내체육시설을 이용하는 국민이 1천만 명 이상이다. 헬스장이 망한 뒤 일어날 회원권 소실에 따른 국민의 금전적 손해를 정부는 그대로 방치하겠다는 것"이라며 "피트니스업계 종사자 90% 이상이 20대~30대 청년이다. 정부가 계속 이런 식으로 한다면 이며 '청년을 위한 정부'를 자임하는 문재인 정부가 청년실업을 만들어 내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말했다.
또한 김재섭 위원은 피트니스업계에 대한 보상도 요구했다. 그는 "정부가 피트니스업계에 내린 영업정지 2주는 달마다 월세 포함 고정비 수백만~수천만 원을 감당해야 하는 실내체육시설업계에 한없이 긴 기간"이라며 "매번 국민에게만 '멈춤'을 강요할 게 아니라 이렇다 할 보상도 없이 문을 닫아야 하는 실내체육시설업 종사자에게도 세금 및 공과금 '멈춤'이 시급하다. 그들은 수입 한 푼 없이 고정비를 견뎌야 하기에 임대료 등의 지원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무책임한 정부, 거짓말쟁이 정부를 이제 더 이상 국민들은 신뢰할 수 없다. 하루라도 빨리 정부는 실내체육시설에 대해 실효성 있고 형평성 있는 조치를 내달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