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오는 11일 오전 10시 새해 국정운영 방향을 담은 신년사를 발표한다.
문 대통령도 휴일인 10일에도 공식 일정 없이 신년사 준비에 몰두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문 대통령이 지난 7일 신년 인사회에서 밝힌 '회복·도약·통합'이 신년사의 뼈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회복'에는 K방역에 덧붙여 다음 달부터 백신 접종을 시작해 코로나19를 완전히 극복하겠다는 의지가 담길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 5일 새해 첫 국무회의에서 "빠른 일상 회복이 새해의 가장 큰 선물이 되도록 정부는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도약'은 K방역의 성공을 토대로 빠르고 강하게 경제 분야의 반등을 이뤄내겠다는 구상으로 볼 수 있다. 신속한 경제 회복을 넘어 경제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뜻이 함께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한국판 뉴딜'을 본격적으로 실행하고, 2050 탄소중립 등 글로벌 과제를 적극 추진함으로써 선도국가로 향하는 기틀을 마련하겠다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통합'이라는 새해 화두를 실천에 옮기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도 관심이 쏠린다.
문 대통령이 지난 7일 신년 인사회에서 '통합'을 언급하자 정치권에서는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면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지만, 청와대는 선을 그은 상태다.
과거 신년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던 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관련 구상도 관심사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5∼7일 제8차 당대회 사업총화 보고에서 남측의 태도에 따라 "다시 3년 전 봄날과 같이 평화와 번영의 새 출발점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만큼 문 대통령의 호응이 예상된다.
문 대통령은 신년 인사회에서 "여건이 허용한다면 한반도의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에도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