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9년 월성원전 3호기 터빈건물 배수로 맨홀의 고인 물에서 삼중수소가 검출됐던 일이 올 초 다시 거론되면서 그 배경에 의문이 쏟아지고 있다.
주민 건강을 위한 중요한 지적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발생 당시 이미 지역민에게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던 일을 다시 끄집어 내는 것은 월성1호기 조기 폐쇄에 따른 수사 물타기라는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다 탈핵의 이유를 원자력 경제성보다는 안전에 무게를 두기 위한 포석이라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중수로를 냉각재로 쓰는 월성 2~4호기는 다른 발전방식보다 삼중수소 검출이 많다. 문제는 검출량이 법적 기준치를 넘거나 인체에 유해한가 여부다.
10일 한국수력원자력 월성원자력본부에 따르면 한수원 자체 조사에서 2019년 4월 월성원전 3호기 터빈건물 하부 지하수 배수로의 맨홀 고인 물에서 리터당 71만3천㏃(베크렐)의 삼중수소가 검출됐다. 이는 배출관리기준인 4만㏃/ℓ를 훌쩍 뛰어넘는 것.
하지만 원전 건물 내 특정 지점에서 일시적으로 검출됐고, 액체방사성폐기물 처리계통으로 모두 회수돼 문제 없다는 것이 월성원전 측의 입장이다.
이후 한수원이 지난해 10월 월성원전 주변지역 중 울산, 경주 감시지점 지하수를 점검한 결과 삼중수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다만 월성원전과 인접한 봉길지점 지하수에서 삼중수소(농도 4.80㏃/ℓ)가 검출됐다. 세계보건기구 음용수 기준은 1만㏃/ℓ다.
한수원은 "기준치를 넘는 삼중수소가 나와 문제가 된 배수로는 방사성 물질 배출 경로가 아니며, 배수로 고인물에서 왜 고농도 삼중수소가 검출됐는지는 원인을 분석 중"이라며 "원인에 대한 자체실험을 수행했고, 결과를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검증 중이다. 주민 안전과 직결된 논란인만큼 철저히 밝히겠다"고 했다.
최학렬 감포읍주민자치위원장은 "삼중수소 논란 이후 집값 하락 등 주민들의 재산권 침해가 우려되고 있다. 2019년 주민 설명을 통해 확인된 내용이 다시 쟁점이 되니 답답하다. 하루 빨리 관련 사실이 명확히 확인되기 바란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