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철강 수요산업 침체와 원료가격상승으로 지난해 영업이익이 2조원대로 내려앉았다.
포스코는 28일 기업설명회에서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57조7천928억원, 영업이익 2조4천30억원, 순이익 1조7천88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과 비교하면 매출은 10.2%, 영업이익은 37.9%, 순이익은 9.8% 각각 줄어들었다.
포스코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철강 수요산업이 침체하고 원료가격 상승이 제품가격에 제때 반영되지 않아 마진이 하락하는 등 이중고를 겼었다.
창사 이래 첫 유급 휴업을 하는 등 유례없는 경영 위기에 직면하기도 했지만 비상경영을 통해 현금흐름 중시의 경영관리 체제로 전환하고, 비용 절감을 통해 3분기부터 수익성을 끌어올렸다.
2분기 포스코의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천677억원으로 바닥을 찍었지만, 3분기 들면서 6천667억원으로 급반등을 시작한 뒤 4분기 8천634원을 기록했다.
포스코 별도 기준 매출액은 전년보다 12.7% 감소한 26조5천99억원, 영업이익은 56.1% 줄어든 1조1천352억원이었다. 순이익은 9천659억원으로 17.8% 줄었다.
철강 부문 이익은 줄었지만, 그룹사들은 전년 수준 영업이익을 유지했다. 포스코건설의 건축 및 플랜트 사업 부문 호조, 포스코에너지의 액화천연가스(LNG) 직도입 및 터미널 연계사업 확대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포스코는 2023년 전체 매출 102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의 중기경영전략도 발표했다. 철강 46조원, 글로벌인프라 51조원, 신성장 5조원 등이다.
올해 연결 기준 매출액 목표는 59조4천억원을 제시했다. 별도 기준 조강생산과 제품판매 목표는 각각 3천780만t, 3천530만t이며 투자비는 연결 기준 6조1천억원, 별도 기준 3조9천억원으로 계획했다
아울러 포스코는 포항1고로를 예정대로 올해 말까지만 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포스코는 이사회에서 연간 배당금을 배당성향 30% 수준인 주당 8천원(기말 배당 주당 4천500원)으로 의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