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화이자 "남아공발 변이에 백신효과 불분명" 인정

실험실에서 항체보호력 3분의 2 감소 확인
'효과건재' 기존입장 흔들…"중증예방엔 도움" 견해도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개발한 코로나19 백신. 로이터통신·연합뉴스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개발한 코로나19 백신. 로이터통신·연합뉴스

미국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가 공동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이 남아프리카공화국발 변이 바이러스에 예방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화이자-바이오엔테크는 텍사스주립대 의과대학(UTMB)과 공동으로 남아공 변이인 B.1.351과 같은 변이 특색을 지닌 바이러스를 배양해 실험실에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연구진은 미국에서 흔히 유행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비교할 때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처럼 변형된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항체의 보호수준이 3의 2 정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백신 접종이나 과거 감염으로 체내에 생성되는 항체는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면역력의 한 축이다.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는 세포 침투를 돕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생긴 변형이 가장 주목된다. 이 특색 때문에 완치가가 재감염되거나 백신 효과가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그간 계속 제기돼 왔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는 남아공발 변이에 자사가 개발한 백신이 예방효과를 지닐지 불분명하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백신의 효과 유무를 판가름할 항체 보호력에는 설정된 기준이 없기 때문에 3분의 2 감소가 백신 효과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런 맥락에서 화이자-바이오엔테크는 자사 백신이 여전히 바이러스를 무력화할 수 있고 남아공발 변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예방효과가 약화한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UTMB 연구진 일부도 화이자 백신이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를 상대로도 면역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고수하기도 했다. 로이터통신은 코로나19 창궐의 주요 우려 가운데 하나가 중증환자 급증에 따른 의료체계 마비인 까닭에 예방효과가 떨어진 백신에도 효용이 있다고 설명했다.

로이터통신이 전한 화이자-바이오엔테크의 연구결과 발표 내용은 이들 제약업체의 기존 입장보다 신중해진 면이 있다. 화이자는 자사 백신이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효과 감소가 거의 없다고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밝힌 바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