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가계부채 억제 기조가 뚜렷한 가운데 변호사, 의사 등 전문직의 은행권 신용대출의 경우 금리가 일반상품에 비해 2% 가까이 낮고 한도도 높은 등 대출 능력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종사자의 신용도가 높다고 해도 금리 및 한도 차이가 적절한 수준인지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구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2018년∼2021년 8월 국내 은행 전문직 및 일반인 신용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 13개 은행의 전문직 신용대출 상품 평균 대출금리는 2.42%, 일반인 신용대출 평균 대출금리는 4.31%였다. 전문직의 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일반인보다 1.89%p 낮은 셈이다.
13개 은행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과 한국씨티은행, 기업은행, 수협은행, 대구·경남·부산·제주·광주은행 등 지방은행 5곳이다. SC제일은행, 전북은행, 산업은행, 케이뱅크, 카카오뱅크는 전문직 전용 신용대출 상품이 없었다.
전문직 및 일반인 신용대출 상품 평균금리 차는 연도별로 ▷2018년 2.0%p(전문직 2.85%, 일반인 4.85%) ▷2019년 1.93%p(전문직 2.59%, 일반인 4.52%) ▷2020년 1.69%p(전문직 2.06%, 일반인 3.75%)로 ▷2021년(1∼8월) 1.87%p(전문직 2.10%, 일반인 3.97%)로 연도별로 등락을 거듭하다 다시 벌어지는 추세다.
대출한도 차이는 ▷2018년 5천200만원(전문직 1억8천600만원, 일반인 1억3천400만원) ▷2019년 6천300만원(전문직 1억9천400만원, 일반인 1억3천100만원) ▷2020년 6천900만원(전문직 2억원, 일반인 1억3천100만원)으로 매년 벌어졌다. 올해 1∼8월에는 전문직 신용대출 평균 한도 2억300만원, 일반인 신용대출 평균 한도 1억3천500만원으로 6천800만원 차이가 났다.
2018∼2020년 3년간 전문직 신용대출 상품 금리가 가장 낮은 은행은 수협은행으로 평균 2.84%였다. 신한은행(2.91%), 대구은행(2.99%)이 뒤를 이었다. 올 1∼8월 수협은행의 전문직 신용대출 상품 평균 금리는 2.48%까지 떨어졌다.
지난 3년간 전문직 대출한도가 가장 많은 은행은 씨티은행으로 평균 4억원이었다. 이어 대구은행(3억6천만원), 우리은행·경남은행·농협은행(각 3억원)이 뒤를 이었다.
강 의원은 "원금과 이자를 떼일 염려가 적은 고소득 전문직에 대해 우대금리를 적용하는 것이 시장 속성상 일견 맞을 수 있다"면서도 "전문직 등 고소득군과 일반인 간의 금리 차이와 개인신용평가 등이 적정한지 금감원이 철저히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