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北 공작원, 90년대 초 청와대서 잠입 근무" 고위 탈북자 증언

북한 정찰총국 고위급 출신인 탈북민 김국송(가명)씨가 영국 BBC방송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BBC캡처·연합뉴스
북한 정찰총국 고위급 출신인 탈북민 김국송(가명)씨가 영국 BBC방송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BBC캡처·연합뉴스

북한의 첩보기관인 정찰총국에서 고위급으로 근무하다 귀순한 탈북자가 "북한의 공작원이 1990년대 초 청와대에 잠입해 근무한 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영국 BBC방송은 11일(현지시간) 30년간 북한 첩보기관에서 근무한 탈북민 김국송(가명)씨와의 인터뷰 내용을 공개했다.

지난 2014년 탈북한 김씨는 정찰총국에서 5년간 대좌(한국군의 대령급)로 근무하고 노동당 작전부, 35실과 대외연락부 등에서 일하며 대남업무를 담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금은 서울에 살며 한국 정보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과거 공작 임무를 담당했던 시절 "직접적으로 대남간첩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서 공작적 임무를 수행한 것이 여러 건 된다"고 주장했다.

또 김씨는 자신이 최고위급 북한 망명 인사인 故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 암살 작전에도 직접 관여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2009년 5월 한국으로 망명한 전직 북한 관리를 죽이기 위해 '테러 대책반'을 구성하라는 명령이 내려왔다"면서 "극비에 황장엽을 테러하기 위한 팀이 꾸려지고 공작이 진행됐다. 내가 직접 이를 지휘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씨는 노태우, 김영삼 전 대통령 시절인 1990년대 초 청와대에도 남파 공작원이 근무하다 북한으로 복귀한 적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가 청와대에 근무하면서 5~6년 근무하고 무사히 복귀해 들어와서 노동당 314 연락소에서 일했다"며 "남파공작원이 남한 구석구석 중요한 기관들은 물론, 시민사회단체 여러 곳에서 맹활약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고 했다.

김씨는 BBC 인터뷰에 응한 이유로 "북한 동포들을 독재의 억압에서 해방하고 참다운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하려고"라고 답했다. 김씨가 한 발언의 신빙성에 대해 BBC는 "김씨의 주장을 독자적으로 확인할 순 없었지만, 신원은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국가정보원은 "탈북민 신상 및 주장에 대해 확인해 드릴 내용이 없다"면서 "다만 '90년대 초 청와대 5~6년 근무' 관련 내용은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