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50년 온실가스 '0'플랜…정부 '탄소중립' 로드맵 최종안

에너지·산업·농축수산 등 목표치 제시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구 노들섬다목적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왼쪽은 김부겸 국무총리.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서울 용산구 노들섬다목적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왼쪽은 김부겸 국무총리. 연합뉴스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40% 감축하고, 2050년엔 '넷제로'(탄소중립)로 가겠다는 정부의 '탄소중립' 로드맵 최종안이 나왔다.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는 18일 문재인 대통령이 첨석한 가운데 서울 노들섬에서 제2차 전체회의를 열고,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안과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을 심의·의결했다.

2030년 NDC 최종안은 2018년 총배출량 대비 40% 감축으로 정리됐다. 기존의 26.3% 감축에서 크게 올렸다. 목표대로라면 2018년 7억2천760만t인 온실가스 배출량이 4억3천660만t으로 줄어든다.

먼저 전기·열을 생산하는 전환 부문에선 석탄 발전을 축소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확대한다. 2030년 석탄 발전 비중을 현재의 41.9%에서 21.8%로 줄이고, 6.2%인 신재생에너지는 전체 발전 방식 중 가장 높은 30.2%로 늘린다.

산업 부문에선 석탄 발전 비중을 2018년보다 14.8% 감축한다. 석유화학 업계는 친환경 원료로 전환하고, 철강 업계에선 설비를 신·증설할 때 고로를 전기로로 바꿔야 한다. 수송 부문의 배출량은 전기·수소차를 450만대까지 늘리는 등 무공해차 보급을 확대해 37.8% 감축한다. 농축산 부문에선 논물 관리 방식 개선, 비료비용 저감 등으로 27.1% 줄인다.

이 로드맵은 27일 국무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NDC 상향안은 오는 31일부터 영국에서 열리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에서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 NDC 상향안은 국제사회에 우리의 탄소중립 의지를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라며 "우리 경제의 지속 성장과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도 더욱 속도감 있게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실현에 나서겠다. 국가의 명운이 걸린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산업계와 노동계의 걱정이 많겠지만, 정부는 기업에만 부담을 넘기지 않고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