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반환이 결정된 대구 남구 미군기지 캠프워커 내 헬기장 부지와 활주로 부지의 활용에 앞서 해결해야 할 오염된 토양 정화 등을 둘러싼 문제로 대구시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 1959년 미군 주둔 이후 미군 부대 주변의 낙후된 남구는 물론, 대구의 앞날을 바꿀 새로운 개발의 밑그림 완성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아서다.
무엇보다 오염된 토양과 지하수의 정화가 발등의 불이다. 환경부가 지난해 12월 반환에 앞서 2019년 11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실시한 미군기지 내 헬기장 및 활주로 부지 토양과 지하수 환경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1급 발암물질인 비소의 최대 농도는 기준치의 15배였다. 페놀도 지하수 수질 기준을 초과하는 등 심각한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사실이 밝혀졌다. 게다가 역시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이 부대 내 여러 건물 안팎에서 검출됐다.
60년 넘는 오랜 세월에 걸친 이런 오염의 정화는 하루아침에 이뤄질 수 없다. 이는 강원도 춘천의 한 미군 부대 사례가 잘 말해준다. 해당 부대는 지난 2007년 반환된 이후 국방부가 3년 동안 180억 원을 투입, 환경정화 사업을 거쳤지만 지난해 공원 개발 과정에서 토양의 기준치 이상 오염 사실이 다시 밝혀졌다. 대구 캠프워커 경우, 지난 7월부터 시작된 한국환경공단의 토양과 지하수 오염 추가 조사에서 종전 오염 면적 외에 상당한 토양 오염 사실이 새로 드러나 오염 문제가 심상치 않음을 드러냈다.
따라서 대구시의 신중한 행정이 필요하다. 대구시는 반환 부지에 대구의 대표도서관 건립과 평화공원 및 3차 순환선 연결 왕복 8차로 건설 등의 청사진을 이미 내놓았다. 그런 만큼 대구의 앞날 모습을 크게 바꿀 개발 일정을 서두르고 싶을 것이다. 그렇더라도 지금까지 드러난 오염과 정화 문제를 소홀히 다뤄서는 안 된다. 게다가 반환 부지의 부실 정화 등을 막기 위해 대구시가 꾸린 토양조사자문위원회조차 최근 추가 보완 조사 필요성을 주문했지 않은가. 대구시는 이들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