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업의 10곳 중 6곳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도입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탄소세 등 관련 규제에 대비하고,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함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상공회의소(이하 대구상의)는 대구기업 375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ESG 관련 대구기업 인식 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62.3%는 ESG 경영 도입의 필요성을 체감한다고 답했다. 특히 직원 수가 300명이 넘는 기업의 경우, 94.7%나 ESG 경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ESG 경영 도입의 필요성을 느낀 이유(복수응답)로는 '환경, 노동, 탄소세 등과 같은 ESG 관련 규제 대비'(49.8%)가 가장 많았다. '기업 이미지 제고 예상'(46.8%), '중요한 사회 이슈이기 때문'(40.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과 달리, 정작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한 노력은 아직 제자리걸음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
전체 응답기업의 64.7%는 전담부서 설치, 담당인력 지정, R&D 투자 등 ESG 경영을 위한 직접적인 활동을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ESG 관련 직접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는 기업 중 다수는 '경영전략·목표 등에 ESG 관련 내용을 포함'(21.1%), '임직원 대상 ESG 관련 사내교육 시행'(12.6%) 등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0월 말 한국기업지배구조원에서 발표한 2021년도 ESG 등급 부여 결과에 따르면, 대구지역 평가대상기업(상장사, 대기업집단 소속회사 등) 25개사 중 DGB금융지주가 2년 연속 A+를 부여받으며 가장 높은 등급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등급이 상승한 기업은 대동(B→B+), 에스엘(C→B+), 엘앤에프‧이수페타시스'(B→B+) 등 4개사였다. 그러나 대구지역 평가대상기업의 72.0%가 B등급 이하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대구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정부에서 기업의 ESG 전문상담과 맞춤형 지원사업 안내를 해줄 수 있는 상담센터를 마련하고, 지자체와 지역 기업지원기관에서도 지역기업의 ESG 고민을 해소해줄 지원 사업 마련에 고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