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29일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총괄선대위원장 합류가 어려워진 것에 대해 "(김 전 위원장은) 돈 주고도 살 수 없는 소"라며 "이제 영입하려면 소값을 쳐주는 정도가 아니라 전권을 드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전 위원장 영입이 될 듯하다가 안 되는) 안타까운 일이 반복되는 이유는 김 전 위원장의 그립감(grip感·선대위 장악력) 때문일 것"이라며 "실제 일을 하기 위해 김 전 위원장이 직제나 요구 사항이 많다 보니까, 후보나 모시는 사람 입장에서는 '이름만 올려줬으면 좋겠는데 뭘 자꾸 하려 그러냐'(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 영입이 중단된 상태에서 원톱으로 나서게 된 김병준 상임선대위원장에 대해 이 대표는 '전투 지휘 실적'을 거론하며 우려를 표했다. 윤석열 후보가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영입한 이수정 경기대 교수에 대해서는 당의 입장과 맞지 않다며 선을 긋기도 했다. 김 전 위원장이 선거를 진두지휘하는 데 탁월한 능력이 있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대선이 박빙 승부로 전개된다면 김 전 위원장의 빈자리는 더 크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렇다고 언제까지 선대위 구성을 놓고 혼선과 갈등을 반복할 수는 없다.
윤 후보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선출되고 3주가 넘었지만 선대위 구성을 마무리 짓지 못하고 있다. 선대위 구성과 주도권을 두고 실랑이가 길어지면서 상호 간 골도 깊어지는 모습이다. 그 사이 윤 후보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간 격차는 한 자릿수로 좁혀지고 있다.
정권교체를 바라는 국민들에게 국민의힘 선대위 구성 난맥상은 꼴불견이다. 하루빨리 전열을 갖추고, 본격 대선전에 나서야 한다. 장기판에서 차(車)와 포(包)의 위력은 막강하다. 하지만 차·포가 없으면 마·상(馬·象) 장기를 둘 수밖에 없다. 없는 차·포를 아쉬워하며 시간을 보낼 수는 없는 것이다. 당내에서 "전략이 안 보인다"는 말까지 나온다. 속히 전열을 가다듬고, 국민 의견 청취와 국민이 기대하는 정책 개발에 집중하는 것이 제1야당의 도리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