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경제가 올들어 꾸준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비해 전반적으로 부진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는 27일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대구·경북지역의 경제회복상황 평가 및 리스크 요인 점검'을 발표하고 신성장 산업 육성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경북의 제조업은 전년대비 7.8% 감소했다. 반면 올해 1~10월 전년동기대비 5.8% 반등하는 데 그쳐 회복세가 충분하지 못했다. 대구경북 서비스업 생산 역시 지난해 전년대비 3.8% 감소했으나 올해 9월까지는 3.2%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코로나 이전 수준에 못 미쳤다.
제조업에서는 기계장비와 자동차부품 생산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상회하거나 근접했으나, 전자영상음향통신과 섬유 등은 감소세를 지속했다. 서비스업에서는 숙박·음식점업, 운수·창고업, 여가서비스업 등이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크게 하회했다.
대구경북의 취업자수 역시 올 1~10월 중 평균 262만5천명으로 코로나 사태 이전인 2019년 동기(264만7천명)에 비해 2만명 이상 적었다. 소매판매액 지수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했으나 전국평균에 비해 반등폭이 작았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는 지역경제의 리스크도 다각도에서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부품수급 불균형',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소비회복 지연'을 지역경제 단기 리스크로 꼽았다.
특히 올 하반기부터 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공급 차질이 지역 제조업 생산 회복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당초 예상보다 수급문제의 해소 시점이 지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국가들에서 오미크론 등 변이 바이러스가 대규모로 확산되는 경우 새로운 양상의 공급차질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주력산업의 친환경(전기차·수소환원제철) 전환 ▷비대면·디지털 전환 등의 리스크에 지역경제가 노출됐다고 진단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대중 의존도가 높은 대구경북 지역 산업구조 특성상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나 주력산업의 친환경 전환 역시 대응이 부실할 경우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지역 신성장산업 가운데 친환경전환 및 탄소중립 기조에 부합하고 향후 가파른 성장이 기대되는 미래차, 에너지, 물산업 등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