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미형 일자리에 이은 경북의 상생형 일자리는? 경북도 '미래차 대전환 분야' 검토 중

도내 자동차부품 업계, 전기차 등 미래차 전환 대응 시급
업계 기술전환 돕고, 일자리도 창출하고…경북도, "상생형 일자리 선정해 업계 살린다"

지난해 11월 열린 상생형 구미일자리 투자협약 및 노사민정 상생협략 체결실 모습. 매일신문 DB
지난해 11월 열린 상생형 구미일자리 투자협약 및 노사민정 상생협략 체결실 모습. 매일신문 DB

경상북도가 배터리 산업 중심의 구미형 일자리에 이은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으로 '자동차부품 업계의 미래차 대전환'을 검토하고 있어 성사 여부에 이목이 쏠린다.

상생형 지역 일자리란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사·민·정 등 경제 주체가 고용·투자·복리후생 등 분야에서 합의하고 이에 기반해 벌이는 사업을 말한다.

9일 경북도에 따르면 도내 자동차부품업체는 1천414개로 전국 업체의 13.7%(2019년 기준)를 차지한다. 업체수는 경주가 45.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경산 16%, 영천 9.8% 등 순서로 뒤를 잇는다.

문제는 전기차 대중화, 자율주행 기술 도입 등 미래차 전환에 따라 기존 내연기관 중심의 부품 수요가 감소할 전망이란 점이다.

도내 자동차부품업체 가운데 미래차 전환 뒤에도 유지될 수 있는 곳은 절반에 못 미치는 40% 수준이며 감소세를 보일 곳은 29%에 달한다는 집계도 있다.

기업의 기술력 부족은 일자리 유지에도 악영향을 주는 만큼 미래차 전환에 선제 대응하는 게 업계는 물론 행정 당국에도 주요 과제란 얘기다. 또한 경북도가 지역 자동차부품 업계의 미래차 대전환을 차기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 후보로 거론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도는 내년부터 5년간 경주, 경산, 영천 지역 자동차 부품 기업과 협의해 3천750억원 규모의 상생형 일자리 추진을 검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참가 희망 기업이 3년 이내 100명 이상 고용하고 미래차 전환을 위해 200억원 이상 투자를 하면 정부와 지자체는 각종 특례로 지원하는 식이다. 근로 복지와 정주 환경 개선 등 지원도 뒤따른다.

내달까지 희망 시군과 사업계획을 마련한 뒤 4월 중 고용노동부 산하 노사발전재단 및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컨설팅을 받고 10월쯤 지역경제 주체(노·사·민·정) 간 상생 협약을 맺는 로드맵을 그리고 있다.

경북도는 상생형 일자리 구상이 업계의 미래차 전환과 지역 고용의 안정적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사업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자동차부품 기업의 미래차 전환 대응은 기업만의 과제가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등이 함께 풀어나가야 할 영역"이라며 "산·학·연 연계 부품 개발 지원 등 세부 사업과 함께 상생형 일자리라는 대규모 구상도 현실로 만들어 고용 위기를 막고 업계의 미래차 연착륙을 유도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