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과 독서실, 스터디카페 등 학습시설 방역패스에 대해 법원이 제동을 건 가운데, 방역당국이 학원 시설에 대한 밀집도 기준 재도입을 시사함에 따라 학원 원장과 학부모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지난 5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방역패스가 해제됨에 따라 종전보다 더 위험해지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며 "일정 부분 밀집도 제한을 다시 강화해 한시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현재 학원에 적용되는 1~2m 거리두기, 하루 3회 이상 주기적 환기, 공용물품 하루 1회 이상 소독 등은 '권고 사항'이다. 지난해 시행된 한 칸 띄우기(좌석이 없는 경우 4㎡당 1명)가 최근 완화된 것이다.
방역당국이 학원 방역을 일시적으로 강화할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대구의 학원가에선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대구 수성구의 종합 학원 원장 A씨는 "학원 내 거리두기의 효과에 대해 의문이다. 지금 확진자가 수천 명씩 나오는 상황에서 학원은 거리두기를 하지 않는 데도 확진자가 다른 시설들에 비해 적다"며 "한 칸 띄우기로 강화하면 일부 학원에선 수강생을 줄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구 달서구에서 단과 학원을 운영하는 B씨는 "학원은 다른 시설과 달리 불특정 다수가 오는 곳이라 보긴 어렵다. 학생과 강사가 학원에 머무르며 마스크를 착용하고, 취식을 엄격하게 막고 있다"며 "확진자가 나오면 큰 타격이기에 학원 자체적으로 방역에 철저하다. 학원에 대한 거리두기 강화는 불필요하다"고 했다.
학부모들 사이에선 정부가 학원을 이용해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보다 백신에 대한 불신을 낮추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는 볼멘소리도 나왔다.
중학생 아들을 둔 C(49) 씨는 "10대 학생이 백신 접종 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는 기사를 보면서 백신 부작용에 대해 걱정하는 학부모들이 많다"며 "거리두기 강화보다 백신 접종률 자체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동화 대구학원총연합회 회장은 "총연합회 차원에서 복지부와 중대본에 입장문과 법원의 방역패스 철회 가처분 인용 내용을 보냈다"며 "그럼에도 다시 거리두기 강화와 밀집도 제한이 시행될 경우 협회 차원에서 항의 집회를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