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기관의 반부패 활동 성과를 평가하는 부패방지 시책평가에서 대구 달서구와 경북도교육청 등이 1등급을 받은 반면 대구시와 경북도, 한국부동산원은 4등급에 머물렀다. 중앙부처 중에서는 외교부가 5등급으로 '나홀로 꼴찌'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020년 11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대구경북을 포함 전국 273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도 부패방지 시책평가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부패방지 시책평가는 각 공공기관이 자율적으로 추진하는 반부패 활동과 성과를 등급화한 것으로 2002년부터 매년 이뤄진다.
대구경북에서는 대구 달서구·북구·경북도교육청·한국도로공사·대구도시공사가 최고인 1등급에 이름을 올렸다. 대구시·경북도·대구 수성구·구미시·경북대병원·한국부동산원은 4등급에 그쳤다.

한국도로공사는 부동산 투기행위신고센터 운영, 온라인 신고시스템 개설, 신입사원 대상 갑질 등 부정부패 모의신고 체험을 실시한 결과 신고 건수가 증가하고, 신뢰도가 개선되는 성과를 거둬 높은 평가를 받았다.
중앙행정기관 중에는 고용노동부·국무조정실·법무부·경찰청·관세청·질병관리청·해양경찰청이 1등급이다.
2등급은 공정거래위원회·교육부·산업통상자원부·여성가족부·인사혁신처·중소벤처기업부·해양수산부·통계청 등이다.
국무조정실은 규제심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패통제와 청렴한 심사업무를 위해 '규제심사 실무운영 매뉴얼'을 개정해 2등급이 뛰면서 최고 등급에 올랐다.
이번 평가에서 1등급을 받은 기관은 43개(15.8%), 2등급을 받은 기관은 55개(20.1%)였다.
전체 공공기관의 평균점수는 100점 만점에 84.7점이다. 이 중 시·도교육청의 점수가 88.8점으로 가장 높았고 공직유관단체(87.0점), 광역지방자치단체(86.6점), 중앙행정기관(85.6점)이 그 뒤를 이었다.
권익위는 각 기관의 반부패 활동 실적을 ▷반부패 추진계획 수립 ▷청렴정책 참여 확대 ▷부패방지제도 구축 ▷부패 위험 제거 노력 ▷부패방지 제도 운영 ▷반부패 정책 성과 ▷반부패 정책 확산 노력 등 7개 항목, 19개 지표로 평가해 5개 등급(1∼2등급 우수·3등급 보통·4∼5등급 미흡)을 부여했다.
전현희 권익위원장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대부분의 공공기관이 연간 반부패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이행했으며 그 성과가 국민에게 닿도록 최선을 다해 알렸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올해부터 반부패 시책 추진노력이 기관의 종합청렴도에 직접 반영되는 방식으로 개편돼 중요성과 영향력이 크게 강화되는 만큼 적극적인 반부패 노력으로 공공부문의 청렴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기관 차원의 관심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대구경북 공공기관 대상 2021년 부패방지 시책 평가 결과
1등급=대구 달서구 북구 경북도교육청 한국도로공사 대구도시공사
2등급=경북대 한국장학재단
3등급=대구시교육청 포항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한국가스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산업단지공단
4등급=대구시 경북도 대구 수성구 구미시 경북대병원 한국부동산원
5등급=없음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