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여년 만에 대구 K-2 군공항과 인근 지역의 고도 제한이 해제될 경우 이곳에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는 등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는 26일 K-2 군공항으로 인한 공간 제한사항 분석과 변화 예측을 통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 이후 K-2 종전 부지와 연계한 관리방향을 발표했다. 군공항 이전을 추진하는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이전부지를 확정한 곳이 대구다.
◆고도가 제한되는 비행안전구역
시는 대구경북연구원과 함께 비행안전구역 현황을 토대로 공간적 제한사항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간 변화를 예측했다. 비행안전구역은 공군기지 보호와 군용항공기의 비행 안전을 위해 고도를 제한하는 구역이다.
시에 따르면 K-2 군공항으로 인해 고도 제한으로 묶인 비행안전구역은 시 면적 883.5㎢의 13%에 달하는 114㎢에 이르고 24만여 가구가 거주한다. 이 구역은 제1~6구역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제1구역은 K-2 군공항 활주로로 전체 구역의 약 2%를 차지한다. 건축이 전면 불가능한 지역이다.
활주로 동서 방향의 전투기 이·착륙 지역인 제2구역은 검단 일반산업단지와 안심지역에 걸쳐 있다. 2구역은 전체 구역의 20%(약 23㎢)를 차지하고 3만1천여 가구가 거주 중이다. 건축물 높이가 3~50층으로 제한되는데 안심 지역 경우 층수 제한이 없는 준주거지역 약 1㎢는 15층까지만 건축이 가능하다.
칠곡과 경산 일원에 걸쳐 있는 제3구역은 2구역 동서 방향의 이·착륙 비행지역. 전체 구역의 13%(약 14㎢)로 경산시를 제외해도 3만6천여 가구가 거주한다. 건축물 층수는 50층으로 제한돼 있다. 활주로 남북방향 인접지역인 제4구역은 동촌 일원. 전체 구역의 2%(약 3㎢)로 5천여 가구가 거주한다. 건축물 높이는 7~12층으로 제한된다.
제5, 6구역은 비행 안전을 위해 설정된 범위가 넓다. 5구역은 전체 구역의 18%(약 21㎢)로 5만여 가구가 거주한다. 건축물 층수 제한 기준은 12~15층. 6구역은 전체 구역의 45%(약 51㎢)를 차지하고 약 12만 가구가 살고 있다. 건축물 층수는 15~50층으로 제한된다.

◆고도 제한에 묶인 개발
현재 비행안전구역 내 주거용 건축물의 약 95%가 5층 미만인 실정. 나머지도 대부분 20층 미만이다. 또 부도심인 동대구 상업지역에는 50층 이상의 초고층 건물을 지을 수 없는 형편이다.
특히 15층 이하로 층수 규제를 받고 있는 지역은 6만여 가구가 거주하는 약 30㎢. 이 가운데 2구역 일부와 4, 5구역에서 층수 제한이 없는 제2, 3종일반주거지역과 준주거지역 및 상업지역의 면적은 약 6㎢다.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은 활주로 남쪽 저층 주택지로 형성된 준주거지역 1.3㎢. 이곳은 고도 제한 해제 후 인구 수와 가구 수가 현재보다 2배 내외, 용적률은 220% 이상 증가하고 약 30층 수준으로 건물 고층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게 시의 추정이다.
또 고도 제한이 해제될 경우 도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주거·상업·공업지역 약 38㎢는 높이 제한 없이 개발 할 수 있게 된다. 시는 K-2 종전부지 6.9㎢를 포함해 44.9㎢ 지역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일 것으로 예상한다.
◆대구 발전의 전환점 되나
수십년 동안 소음 피해와 고도 제한으로 개발에서 소외됐던 지역 주민들에게 군공항 이전과 고도 제한 해제는 새로운 기회다. 시는 이런 움직임이 지역 경쟁력 향상과 대구 발전에 있어서도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본다.
시는 K-2 종전 부지에 조성하는 '대구 스카이시티'와 주변 지역이 하나가 돼 대구 혁신 성장의 전초기지가 될 수 있도록 큰 틀에서 밑그림을 그려나갈 계획이다. 이에 따라 스카이시티를 ▷중심기능 형성지역 ▷계획적 개발지역 ▷체계적인 관리지역 ▷경관 형성 관리지역 등 4개로 나눠 관리 방향을 수립한다.
K-2 종전부지와 동대구역 일대는 '중심기능 형성지역'으로 설정, 발전의 중심지 역할에 부합되게 관리한다. 택지지구 및 산업단지 등으로 조성된 칠곡·안심·율하택지 및 금호워터폴리스 지역은 '계획적 개발지역'으로 정해 기존 개발계획과 주변 환경 변화를 고려하면서 탄력적으로 관리한다.
K-2 종전부지와 맞닿은 지역은 고도 제한 해제 후 어느 곳보다 변화가 클 것으로 보이는 곳. 이 지역은 '체계적인 관리지역'으로 K-2 종전부지 개발계획과 연계해 관리한다. 금호강과 팔공산 등은 '경관 형성 관리지역'으로 설정해 개발과 보전이 조화되는 자연친화형 개발을 추진한다.
정해용 시 경제부시장은 "K-2 군공항이 이전하면 대구는 고도 제한과 소음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도시가 될 것"이라며 "이 지역의 공간적 위상과 역할, 개발 밀도, 자연환경 등을 고려해 좀 더 구체적이고 세밀한 밑그림을 그리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