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학교 밖 청소년 10명 중 3~4명, 극단적 선택 위험 커

학교 밖 청소년의 36.8%는 극단적 선택 위험에 노출돼 있어
학생 청소년보다 학교 밖 청소년이 우울, 불안, 극단적 선택 위험에 더 취약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학교 밖 청소년 10명 중 3, 4명은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크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은 6일 이 같은 내용의 '10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를 실시한 최정원 연구위원 등 연구진은 지난해 7, 8월 학생 청소년(초4∼고3) 5천937명과 학교 밖 청소년 752명 등 모두 6천689명을 대상으로 주요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조사했다.

분석 결과, 학교 밖 청소년의 정신 건강이 학생 청소년보다 더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르면, 학교 밖 청소년의 35.0%와 29.0%는 각각 우울과 불안 증상을 갖고 있으며 36.8%는 극단적 선택 위험에 노출돼있었다. 학생 청소년의 경우 17.4%가 우울 증상을, 13.0%가 불안 증상을 보였고, 16.4%가 극단적 선택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우울, 불안 그리고 극단적 선택 위험성 등에서 경도 이상의 임상적 중증도에 해당하는 학교 밖 청소년 비율은 학생 청소년의 2, 3배 수준으로 높았다.

비행 행동을 경험한 비율 역시 학생 청소년보다 학교 밖 청소년이 더 높게 나타났다.

흡연·음주·무단결석·가출·패싸움·절도·도박 등 7가지 비행 유형 중 한 가지 이상의 비행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학생 청소년과 학교 밖 청소년 각각 6.0%, 35.2%였다.

또한, 같은 학교 밖 청소년이라도 여자 학교 밖 청소년이 남자 학교 밖 청소년보다 정신건강 문제 대부분에서 더 높은 수준의 중증도를 보였고, 나이가 많을수록 중증도도 심해졌다.

연구진은 "중앙 부처와 지자체 간 청소년 정신건강 사업이 중복돼 이로 인한 자원 낭비와 서비스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청소년 정신건강 사업을 총괄할 수 있는 거버넌스가 중앙과 지방 단위에서 구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