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는 재산도 없고 직장도 다니지 않지만 은행 대출로 고가 아파트를 샀다. A씨 동생 B씨는 오피스텔 전세를 얻었다.
A씨와 B씨는 아버지 병원에 이름만 올려 급여를 받았다. A씨의 대출금과 이자는 의사인 아버지가 대신 갚았다. 세금을 내지 않고 재산을 넘겨주기 위한 '꼼수'였다. B씨의 전세금도 편법으로 증여한 돈이었다.
국세청은 이처럼 '부모 찬스'를 이용해 빚을 갚는 등 편법 증여로 세금을 빼돌린 혐의가 있는 연소자 227명에 대해 세무조사에 착수했다고 3일 밝혔다.
국세청의 조사 대상에는 부모 재산으로 대출을 상환하거나 부모 신용카드로 사치성 소비 생활을 누린 '금수저 엄카족(엄마 카드를 쓰는 자녀)' 41명이 포함됐다.
고가 주택을 샀지만 소득이나 자금 여력이 없어 변칙증여가 의심되는 52명이 대상에 올랐다. 근저당권 설정을 계속 유지하거나 허위 차용증을 써 부동산 담보 대출을 부모가 대신 갚아준 사실을 숨긴 87명도 조사 대상이다. 신종 호황 업종으로 돈을 벌고 수입을 숨긴 부모로부터 돈을 받아 재산을 불린 47명도 포함됐다.
미성년자 C군과 어머니는 수십억원 상당의 상가와 아파트를 사들였다. 부동산 취득자금은 '스타강사'인 아버지가 세금을 내지 않고 빼돌린 사업소득이었다.
일용직인 D씨는 어머니의 신용카드로 명품 쇼핑과 해외여행을 즐겼다. D씨는 어머니로부터 받은 돈과 은행 대출을 합쳐 부동산도 사들였다. 대출 이자 상환 역시 어머니가 책임졌다.
국세청은 대출 증감 내역과 소득·소비패턴을 분석해 부모의 도움으로 재산을 취득하거나 대출을 상환한 혐의가 있는 경우에 대해 자금 출처를 분석해 탈세 혐의자를 가려냈다.
국세청 관계자는 "향후 자산 취득과 부채 상환 등 부의 이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칙증여에 대한 검증체계를 더욱 정교화해 탈루행위에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