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포항·구미 등 도내 주요 도시의 도심 대중교통수단으로 '트램' 도입을 검토 중이다. 최근 친환경·도시재생 수단으로 급부상한 트램 건설을 통해 도내 광역철도망 효용성 및 확장성을 높여 메가시티 계획을 구체화해 나간다는 게 그 배경이다. 현재 인구 50만 명 전후의 포항과 구미, 경주, 경산시가 후보지로 꼽힌다.
트램은 지하철이나 경전철에 비해 건설비가 적게 들고 공사 기간도 상대적으로 짧아 경제성 측면에서 현저한 우위에 있다. ㎞당 227억 원의 단위당 건설비를 보면 지하철(1천300억 원), 경전철(600억 원)과 비교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다만 기존 도로 교통체계와의 중첩 등으로 도심 혼잡도가 높아질 가능성도 있지만 강점이 많은 신교통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전문가들도 기존 대중교통 시스템과의 유기적 연계 등 역할 분담을 잘 해결한다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경북도가 구미~경산 대구권 광역철도와 대구~포항 광역철도, 통합신공항 순환 광역철도와 트램의 연계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의 편의성과 도시철도망의 경제성 강화를 꾀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현재 대구가 서대구KTX역을 기점으로 한 도시철도 트램 노선을 확정했고, 하남시 위례선 트램 착공에 이어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이 설계 단계다. 또 울산시와 화성 동탄 트램 건설 계획도 구체화되고 있다.
문제는 지방자치단체가 트램 건설에 얼마나 강한 의지를 갖고 계획을 빠르게 성사시키느냐가 관건이다. 국가재정 지원 사업인 트램 건설은 국비 60%와 지방비 40% 구조로 추진되기 때문에 경제성 등을 충분히 고려한 노선 설계 등 초기에 강한 추진력이 매우 중요하다. 그동안 노선 획정 등으로 인한 사업 지연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은 타 도시 사례는 좋은 교훈감이다. 사전에 면밀히 조사 분석하고 준비하지 않을 경우 완공까지 많은 시간 손실 등 사회적 비용 부담이 커진다는 점에서 만반의 준비 태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