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만7천443명에 달했다. 오미크론 변이가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환자 수 폭증세가 매섭다. 1만 명에서 지속되던 환자 수가 1주일 만에 3만 명대를 넘보고 있다. 오미크론보다 더 전파력이 강하다는 '스텔스 오미크론'까지 국내에 들어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 하루 2만 명의 확진자가 나올 수 있다"고 처음 경고한 것이 지난해 12월 중순이었다. 비슷한 시기 의료계도 "오미크론 폭증에 대비해 진단 치료 체계를 전면 개편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정작 오미크론 확진자가 폭증해 정부가 코로나 진료 체계를 개편한 3일 이후 진료 현장에서는 큰 혼란이 빚어졌다. 동네 병의원 중심 진료 체계를 본격 도입했다지만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동네 병의원은 소수였고 PCR검사까지 가능한 곳은 그보다 더 적었다. 대구에선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지정된 곳이 모두 16곳이었지만 이날 5곳이 인력, 진단 키트, 공간 확보가 제대로 안 돼 코로나 검사를 하지 못했다. 초중고교 개학이 잇따르고 있는데도 방역 당국이 학교 방역 지침도 내놓지 않아 학부모들만 애를 태우고 있다. 오미크론 대세론이 나온 지 두 달이 다 되도록 정부는 "오미크론 확산에 대비해 대응 체계를 시작하겠다"고 말만 늘어놓고선 정작 대응은 국민 기대에 못 미친 것이다.
결국 정부는 코로나 확진자가 3만 명에 육박하자 종전대로 6인 사적 모임 인원 제한과 오후 9시까지 영업시간 제한을 골자로 한 현행 코로나 거리두기 방침을 2주 또 연장했다. 코로나 확산에 대비해 미리 철저한 대응책을 세우긴커녕 막상 코로나 폭증이 현실화하자 거리두기 방침 연장으로 대응한 것이다.
하지만 정부가 '전가의 보도'처럼 휘두르는 거리두기 연장에 대해 국민들은 이미 식상할 대로 식상해져 있다. 거리두기에 대한 회의론도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다. 이젠 정부가 '코로나 확산=거리두기 연장'이란 등식을 깨트릴 때도 됐다. 정부는 시도 때도 없이 거리두기 방침을 연장해 왔지만 결국 코로나 확산도 막지 못했고, 자영업자 등 국민 피해만 장기화한 것이 현실이다. 정부가 손쉬운 거리두기 연장 대신 국민들이 일상 회복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지침을 마련해야 할 때가 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