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달 새 학기를 앞두고 대구시교육청이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교내 임시검사소 운영을 검토하는 등 새로운 학교 방역 체계가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학생들이 원하는 곳에서 유전자 증폭(PCR)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이동형 검체팀도 도입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등교 방침과 새로운 학교 방역 체계 내용을 포함한 '2022학년도 학사 운영 방안'을 7일(월요일) 발표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앞서 지난 4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시도교육감과의 간담회를 열고, PCR 검사 외에도 신속항원검사 등을 활용하는 방안 등 오미크론 시대에 새로운 검사 체계를 학교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논의했다.
교육부는 새 학기 정상등교를 원칙으로 하되, 지역별·학교별 특성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학습 결손을 해소하고자 등교 수업을 진행하지만, 오미크론 변이 확산 상황에 맞춰 각 학교가 대응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강화하는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구시교육청은 정상등교를 원칙으로 하고, 학생들이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임시검사소를 마련할 방침이다. 학교·유치원 내에 신속항원검사를 진행할 별도 공간을 조성할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
이는 등교 후 학생이 코로나19 의심증상을 호소할 경우 인근 선별진료소나 호흡기전담클리닉 등에 보내는 것이 아니라 학교 안에서 곧바로 검사함으로써 감염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려는 것이다.
시교육청은 신속항원검사 자체가 '자가진단'이 원칙이어서 학교 교직원들이 검사를 안내하고, 임시검사소를 운영할 별도의 인력은 확충하지 않을 계획이다.
아울러 이동형 PCR 검체팀 도입도 추진 중이다. 교육부는 지난 설 연휴 각 시·도에 이동형 검체팀 운영에 대한 희망 조사를 실시했다. 대구시교육청은 이동형 검체팀을 운영하겠다고 의사를 밝힌 뒤, 교육부에 운영 신청을 해둔 상태다. 교육부와 질병관리청이 협의를 거쳐 최종 승인이 내려지면 곧바로 도입할 수 있다.
교육부는 지난해 5월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거 발생한 서울, 인천 등 일부 지역의 교내 감염을 차단한다는 취지로 교직원과 학생에게 PCR 검사를 지원하는 이동형 검체팀을 운영한 바 있다.
대구시교육청 "학교 방역에 필요한 자가진단키트 구입은 시·도 교육청 자체 예산으로 이뤄질 예정"이라며 "학교 방역물품 구입 예산을 충분히 확보했고, 교육부 등 관련 부처에서 안정적인 공급이 이뤄지도록 활로를 조성하고 있어서 구매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