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월급 17% 오르는 동안 세금·보험료 40% 올랐다

물가상승 영향 세율 인상 효과…고용보험료 44.8% 늘어 최고

최근 5년간 근로자 임금은 평균 17.6% 늘었지만, 근로소득세와 사회보험료는 약 40%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016∼2021년 고용노동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원천징수되는 근로소득세와 사회보험료 부담 증가율이 포인트(p) 기준으로 임금보다 2배 이상 높았다고 6일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1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의 월 임금은 2016년 310만5천원에서 지난해 365만3천으로 17.6% 늘었다.

하지만 근로소득세와 사회보험료는 2016년 36만3천원에서 지난해 50만7천원으로 39.4% 증가했다. 특히 근로소득세 부담은 2016년 10만2천740원에서 지난해 17만5천260원으로 70.6% 늘었다.

한경연은 "2010년 이후 소득세 과표구간이 변화가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물가상승 영향으로 월급이 올라도 근로소득세는 상위의 과표구간이 적용돼 사실상 자동적으로 세율이 인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한경연은 "과도한 근로소득세 및 사회보험 부담은 근로자의 가처분소득을 감소시켜 소비 여력을 축소하는 요인이 된다"며 "차기 정부는 물가에 따라 자동으로 과표구간이 조정되는 소득세 물가연동제를 도입하고, 사회보험 지출구조를 합리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