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규확진 4명 중 1명 미성년자…교육부, 정상등교 고수할까

원격수업 질·돌봄문제 등 놓고 학부모 온라인 커뮤니티 거센 논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100만명을 넘어선 6일 오후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제2주차장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위해 줄을 서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확진자가 3만8천691명 늘어 누적 100만9천688명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100만명을 넘어선 6일 오후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제2주차장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위해 줄을 서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확진자가 3만8천691명 늘어 누적 100만9천688명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4명 중 한 명 이상이 만 19세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 확진자가 크게 늘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부가 정상 등교 원칙을 고수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그간 발표 내용을 종합하면 교육부는 새 학기 등교 수업을 원칙으로 하되 지역·학교별로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교육당국은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학습결손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현장의 목소리에 정상등교를 추진하겠다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가 걷잡을 수 없이 번지는 상황에서 이를 고수하기는 쉽지 않아졌다. 이에 따라 교육부도 원격·재택수업 등을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문제는 학생·학부모의 불만이 큰 원격수업의 질을 얼마나 높일 수 있느냐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난 4일 열린 전국 시도교육감 영상간담회에서 "대체 학습과 원격수업의 내실화 방안은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가 큰 사항 중 하나"라며 "앞으로 확진자와 격리자가 대거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학습 결손 최소화와 학습권 보장을 위한 수업 운영방안은 새 학기 학사 운영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교 방역 체계도 바뀔 전망이다. 교육부는 유전자증폭(PCR) 검사 외에 신속항원검사 등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또 오미크론 확산에 코로나19 검사·진단 체계가 바뀐 만큼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특히 같은 학교, 반에서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또 가족 중 확진자가 나왔을 때 등 확진자와 접촉한 학생들의 등교 방식에도 변화가 있을지 주목된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소아·청소년 코로나19 발생률도 높아지는 추세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6일 자정 기준 19세 이하 신규 확진자 수는 9천883명으로, 전체 신규 확진자의 25.5%에 달한다. 2020년 1월 이후 인구 10만명당 발생률은 10~19세가 2천667명으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0~9세의 10만명당 발생률도 2천468명으로 전 연령대 중 세 번째로 높다.

학부모들은 교육부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상황에 따라 '정상등교' ,'유연한 등교'를 바라보는 입장도 다르다. 코로나19 확진 상황에 민감한 학부모들은 정상등교 원칙에 비판적이지만, 맞벌이 부모들은 원격수업이 장기화할 때 아이 돌봄 문제가 고민이다. 학부모가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정상등교 여부를 놓고 거센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교육단체에선 교육부가 보다 명확한 지침을 내놔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조성철 대변인은 "지나치게 학교 재량에만 맡기게 되면 등교 문제가 학부모들의 민원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기준이 불분명하면 '왜 우리 학교는 등교하냐', '옆 학교는 등교하니 우리도 하자' 등 서로 다른 요구가 빗발칠 수 있다는 것이다. 조 대변인은 "학교·학급 규모, 확진자 상황에 따른 기본적인 지침을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