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시민 혼란과 불안감 없도록 새 방역 체계 잘 보완하라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급속한 확산으로 10일부터 '자율 재택치료'가 시작됐다. 60세 이상 고령자와 50대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에 의료 자원을 집중하는 대신 무증상·경증 등 일반관리군은 스스로 자기 건강을 점검하도록 방역 규정이 바뀐 때문이다. 이번 방역 체계 전환으로 자율 재택치료를 하는 경증자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데다 새 체계 도입에 따른 혼선 등 해결 과제도 적지 않은 만큼 정부와 방역 당국의 면밀한 점검과 보완이 요구된다.

10일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5만4천122명으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으로 하루 5만 명대에 진입했다. 대구경북의 상황도 심상치 않다. 대구는 이날 2천329명이 새로 확진돼 이틀 연속 2천 명대를 기록했다. 경북도 1천818명의 신규 확진자를 기록하면서 검사자 대비 확진자 비율인 양성률이 일주일 새 대구는 4배, 경북은 2배 이상 증가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과 방역 체계 변화에서 가장 우려되는 대목은 재택치료자의 비상 대응 요령이다. 증상이 갑자기 악화해 치료를 받아야 할 경우 의료기관 접근 등 대응 프로세스가 제대로 홍보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증상 악화 시 지정 병·의원이나 호흡기전담클리닉, 재택관리지원상담센터에서 비대면 진료나 전화 상담을 받을 수 있다고 발표했지만 아직 준비가 충분치 않은 탓에 현장의 혼란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또 해열제나 자가검사 키트,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 재택치료자가 준비해야 하는 의료 물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많지 않아 사정이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현재 대구의 재택치료자는 9천356명으로 하루 1천 명씩 빠르게 늘고 있다. 만약 재택치료자가 폭증하거나 현장 의료 체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할 경우 시민 불안감은 증폭되고 의료 체계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 방역 당국과 지자체는 지금이라도 새 방역 체계를 적극 홍보하고 미흡한 부분이 있다면 보완해 나가야 한다. 허술한 방역 관리 시스템은 국민 안전에 큰 위협이 된다는 점에서 완벽한 수준의 대응 프로세스를 갖추는 데 더 집중해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