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세수입이 정부의 첫 예상보다 60조원 넘게 더 걷혔다. 정부의 예상보다 부동산 시장이 호황이었던 데다 경기 회복 속도가 빨라 나타난 현상이란 분석이다.
기획재정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1 회계연도 총세입부와 총세출부'를 11일 마감했다. 이는 작년 정부의 세입과 세출을 확정하는 절차. 마감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결산보고서를 작성, 감사원 결산검사 후 5월말까지 국회에 제출하게 된다.
마감 결과에 따르면 총세입은 524조2천억원, 총세출은 496조9천억원. 차액인 결산상 잉여금은 27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월액 4조원을 제외한 총세계잉여금은 23조3천억원으로 역대 최고 규모였다. 세계잉여금은 지난해 회계 결산 후 남은 돈. 정부 예상을 넘어 들어온 세입, 세출 예산 중 쓰고 남은 돈을 더한 개념이다.
최종 집계된 지난해 국세수입은 344조1천억원. 지난해 예산을 처음 편성한 2020년 가을에 잡은 세입 예산(282조7천억원)에 비해 세수 오차가 61조4천억원에 이른다. 국세수입 오차율은 21.7%였다. 작년 7월 2차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면서 예상한 금액(314조3천억원)보다도 약 30조원 더 걷혔다.
세목별로 살펴보면 양도소득세 수입은 36조7천72억원으로 19조8천215억원 더 징수됐다. 부동산 증여가 늘어나 상속증여세 수입은 5조9천63억원, 주식시장이 활황이어서 증권거래세 수입은 5조1천695억원 더 걷혔다. 법인세 수입은 70조3천963억원으로 17조790억원, 근로소득세 수입은 3조7천84억원 더 징수됐다.
실물경제는 불안했으나 부동산 시장 열기가 뜨거워 이와 관련한 세금이 늘었다. 경기 회복 속도가 비교적 빨랐다는 것도 국세수입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코로나19 회복기에 나타난 경제 불확실성 탓에 지난해 대규모 세수 오차가 발생했다. 이런 현상을 사전에 분석해내지 못해 송구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