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가계대출 잠재리스크 커져, 대응방안 마련해야”

전체 13.5%가 부실위험 차주…1인당 부실 가계대출 잔액 1억8천만원
금리인상 등 향후 여건도 나빠…“고금리 대출 의존도 낮춰야”

대구경북 부실위험 가계대출. 한은 대경본부 제공
대구경북 부실위험 가계대출. 한은 대경본부 제공

대구경북 가계대출에 빨간불이 켜졌다. 최근 대출금리 상승과 은행의 대출관리 강화 등으로 금융여건이 변화하면서 부실 채무자를 중심으로 가계대출 리스크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21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발표한 '대구경북 가계대출 잠재리스크 점검 및 대응방안'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 대구경북 부실위험 차주 수는 21만1천명(중복 제외)으로 전체 가계차주(170만9천명) 중 13.5%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6월 기준 지역의 부실위험 가계대출 잔액은 41조5천억원으로 지난 2017년(38조6천억원) 이후 꾸준히 증가해 왔다.

지역 부실위험 차주의 1인당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2014년 1억2천100만원에서 지난해 6월 1억8천만원으로 계속해서 전국 평균을 웃돌고 있다.

대구 부실위험 차주의 연체율도 4.3%로 광역시 평균(3.2%)을 크게 상회한다. 연체율 상승은 부실위험 차주의 신용등급 하락을 불러 대출 접근성을 더욱 힘들게 할 수 있다.

부동산과 관련해서도 소득 대비 높은 레버리지로 채무상환부담이 누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부실위험 차주의 LTI(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와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각각 5.0배, 79.8%로 전국 평균(4.8배, 75.5%)보다 높다. 대구는 주택담보대출 비중도 높아 주택가격 변동에 취약하다.

문제는 향후 가계대출 여건이 녹록지 않다는 것이다.

최근 기준금리 인상을 전후해 대출금리가 올랐고, 추가적인 금리 인상 가능성도 높다. 정부도 가계대출을 옥죄고 있고, 코로나19 금융지원 정상화도 다가오고 있다.

대출 문턱이 좁아지자 수요는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으로 향하고 있다.

대구와 경북의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대출 비중은 65.8%, 77.6%로 광역시(57.9%) 및 9개도(67.4%) 평균보다 높다.

종합하면, 대구경북 가계대출은 연체율이 다른 지역을 웃도는데다, 소득 대비 차입규모가 과도해 외부 충격에 취약한 상태다.

이에 대해 한은 대경본부는 "가계대출 증가 속도를 완만하게 유지하는 한편, 부실위험 차주의 고금리 대출 의존도를 점진적으로 낮추는 대책이 필요하다 "며 "중장기적으로는 가계소득 개선을 위해 지역경제 활성화, 기업 유치, 일자리 창출 등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