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풍산읍 신양리 일대에 추진돼 오던 '의료폐기물 소각장' 건설사업(매일신문 1월 7일 보도)에 대해 안동시가 사업계획 재검토 결정을 내려지면서 사실상 사업추진이 불가능해 졌다.
안동시는 지난 18일 이 업체가 제출한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시설에 대한 도시관리계획 변경 입안 제안에 대해 '사업계획 재검토' 결정을 내리고 사업자에게 통보했다. 사실상 소각장 건설 사업을 불허한 것이다.
안동시는 이 사업에 대해 ▷안동시의 상위계획인 2030년 안동시 도시기본계획과 상충하고 ▷주민들의 생활환경 침해 등 반대여론과 주민수용성이 부족하고 ▷경북도내 소각시설 용량이 발생량을 전량 처리하고 남는 규모로 추가 설치의 필요성이 없다는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또 "관련 기관 및 인근 지자체에서도 부정적 의견이 크다는 점과 시설에 따른 주민이 입게 될 부정적 영향을 배제할 수 없고 공익성과도 부합되지 않는다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사업계획 재검토'를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상록환경은 지난 2019년 9월 안동시 풍산읍 신양리 9천560㎡ 부지에 보관용량 300톤(t), 하루 처리 용량 60t 규모의 의료폐기물 소각장 설치사업 신청서를 안동시에 제출했다.
이에 따라 대구지방환경청도 지난해 11월 업체 측이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대해 적정 통보했으며 업체 측은 지난해 12월 7일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시설에 대한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을 요구하는 입안제안을 안동시에 제출하면서 논란이 재점화됐다.
예정부지 인근에는 안동과 예천 5개 마을 266가구 499명이 살고 있으며 가장 가까운 민가는 500여m, 낙동강 본류까지는 5㎞거리다.

그동안 주민들은 소각장저지대책위를 구성해 반대목소리를 높여 왔다. 지난 1월 7일에는 안동과 예천 주민 200여 명이 참석해 안동시청 앞에서 대규모 소각장 추진 중단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 이 문제는 청와대 국민청원에도 올랐다.
이후 주민들은 최근까지 50여일이 넘도록 매일 아침 안동시청 정문에서 '소각장 설치 반대'를 요구하는 주민 1인시위를 이어왔다. 안동시의회와 예천군의회도 각각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반대했다.
의료폐기물 소각장 저지 주민대책위는 "의료폐기물 소각장에 대한 안동시의 재검토 결정은 당연한 것으로 환영한다. 삶의 터전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서 주민들은 소각장 건설 완전 백지화 때까지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상록환경 측은 "아직 공문으로 통보를 받는 내역이 없다. 공식적인 결과를 확인한 후 회사의 대응 방침을 정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