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전자출입명부를 폐지했지만 '방역패스'(코로나19 접종증명·음성확인제)는 유지하면서 접종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시설에선 "달라진 게 없다"는 푸념이 나온다. 바뀐 방역지침으로 혼동하는 시민들에게 일일이 설명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상당하다.
2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19일부터 출입명부 의무화 조치가 중단됐다. 역학조사 방식이 고위험군 중심으로 전환된 만큼 광범위한 출입명부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다.
영화관, 대형마트 등 다중이용시설에선 QR코드와 안심콜 등 출입명부 절차 없이 출입이 가능하다. 사실상 '프리패스'가 가능해진 셈이다. 반면 식당, 카페 등 방역패스 적용시설엔 딴 세상 이야기다. 출입명부는 중단됐더라도 접종 여부를 확인하는 QR코드 절차는 유효하기 때문이다.
두산동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A(29) 씨는 "손님들이 오면 일하던 직원들이 뛰어가 'QR 코드로 확인 부탁드린다'라고 안내하고 있다"며 "출입명부를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는 지침은 방역패스가 적용되지 않는 시설의 특권"이라고 했다.
출입명부와 방역패스를 혼동하는 시민들도 적지 않다. 업주들은 일일이 바뀐 방역지침을 설명해야하는 부담까지 떠안아야 한다. 특히 출입이 자유로운 백화점 내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업주들의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대구의 한 백화점 내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B(51) 씨는 "백화점과 달리 식당이라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설명하지만, 매번 답답하고 힘이 빠진다"고 하소연했다.
수백만원을 들여 설치한 무인결제시스템도 무용지물로 전락한 지 오래다. 손님들의 접종 여부 확인을 위해선 대면 안내가 필수다. 북구의 한 카페 사장 C(30대 초반) 씨는 "출입명부가 사라진 영화관 등 시설은 키오스크를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지만, 카페에서는 미접종자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확인해야 한다"고 털어놨다.
중대본 관계자는 "현재로선 방역패스 철회는 계획에 없다"며 "방역패스 시설의 확대 또는 축소는 오미크론 확산 등 방역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