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26일 오후 9시 22분. 서해에서 폭침으로 배가 가라앉고 46명의 군인이 사망했다. 천안함 사건이다.
당시 수많은 언론은 침몰한 배와 숨진 장병에 초점을 맞췄다. 사람들은 오랫동안 그날 배가 왜 가라앉았는지에 집중했고 진영을 나눠 다퉜다. 숨진 장병들은 화랑무공훈장을 받으며 숭고한 존재로 기억됐다.
하지만 그곳엔 살아남은 58명의 병사도 있었다. 그들은 패잔병이라는 부당한 낙인과 편견, 극심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냈다.
이 책은 그날 살아남은 생존 장병들이 이후 10여 년 동안 겪었던 시간에 대한 이야기다. 보건학자로 천안함 생존 장병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트라우마를 보살폈던 김승섭 고려대 교수가 썼다.
지은이는 2018년 한겨레신문과 함께 '천안함 생존장병 실태조사'를 벌였다. 생존 장병 24명을 대상으로 한 이 실태조사에서 91.3%가 한 번이라도 PTSD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58.3%가 극단적 선택을 생각했고 이 중 29.1%는 극단적 선택을 시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가니스탄 또는 이라크 전쟁에 참여한 미군 가운데 2001~2005년 PTSD 진단을 받거나 치료받은 사람이 13%였던 것과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다.
지은이는 우리 사회가 그들의 상처를 오히려 덧나게 했다고 진단한다. 특히 생존자의 95.5%가 군에서 '패잔병'이라는 말을 들었을 정도로, 패잔병이란 낙인이 이들을 더욱 괴롭혔다는 것이다.
지은이는 천안함 사건과 세월호 참사가 두 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다고 봤다. 트라우마 생존자를 대하는 한국 사회의 폭력적인 태도, 상대 진영이라 여겨지는 피해자의 고통을 조롱하는 진영 논리의 폭력성과 편향적 사고가 고스란히 드러난 사건이라는 것이다. 한 생존 장병은 "보수는 (천안함 사건을) 이용하고 진보는 외면했다"고 떠올렸다.
지은이는 말한다. 천안함 사건이 폭침 당일에 한정된 용어가 아니라, 그 이후 이 사건을 대하는 한국 사회의 태도를 모두 포괄하는 단어가 돼야 마땅하다거. "그럴 때 비로소 우리는 천안함 사건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거나 외면하는 현재의 상황을 넘어설 수 있을테니까요." 268쪽, 1만5천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