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미혼 청년 10명 가운데 8명은 내 집 마련이 필수적이라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향후 10년 안에 내 집 마련에 성공할 것이라고 여기는 무주택 미혼 청년은 10명 가운데 4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연구원이 23일 발표한 '2030 미혼 청년의 주거 여건과 주거인식' 보고서에 따르면 2030세대 미혼 청년 가운데 85.5%가 무주택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결과는 국토연구원이 만 20세 이상 39세 이하인 전국 미혼 청년 3천9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9월 17∼28일 웹·모바일을 통해 조사한 것을 분석한 것이다.
조사 결과 2030세대 미혼 청년 가운데 14.5%만이 본인 소유의 주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85.5%는 본인 소유의 주택이 없었다. 무주택 미혼 청년 가운데 77%는 내 집을 꼭 소유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집계됐다. 내 집 마련은 필수라고 여기는 무주택 청년 가운데 81.3%는 부모가 경제적인 지원을 해주는 것을 기대한다고 응답했다.
자신의 소득과 자산을 고려해 10년 이내 주택을 소유할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은 42.6%에 불과했다. 내 집 마련이 필수적인데 부모의 경제적 지원도 기대하고 있는 청년 가운데 57.9%가 10년 내 주택 소유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냈다. 내 집 소유가 필요하지만 부모 도움에 대한 기대가 없는 청년 가운데 10년 안에 주택 마련 가능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한 비율은 41.4%에 그쳤다.

2030세대 미혼 청년 가운데 부모로부터 독립했다고 답한 비율은 34.2%로 나타났다. 직장인이 59.6%로 가장 많았고 학생(18.1%), 취업준비생과 수험생(9%), 파트타임(7.6%), 자영업자(4.4%), 기타(1.2%) 순이었다.
부모에게서 독립한 2030세대 미혼 청년 가운데 42.1%는 독립할 때 부모의 경제적인 지원을 받았다고 답했다. 부모에게서 주택 자금 지원을 받은 규모는 평균적으로 보증부월세 보증금의 60.9%, 전세보증금의 45.3%, 자가주택 가격의 45.1% 수준으로 집계됐다.
박미선 국토연구원 주거정책연구센터장은 "부모의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가 중요하게 나타난 것은 부모 세대의 소득·자산 격차가 자녀 세대로 대물림될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부모 도움 없이도 적정한 주거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