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들어 빈부격차가 크게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순자산 10분위(상위 10%)의 순자산은 17억9천369만 원으로. 2017년 순자산 13억1천916만 원보다 4억7천453만 원 늘었다. 반면 순자산 1분위(하위 10%)의 지난해 순자산은 -818만 원으로 2017년 -666만 원보다 빚이 152만 원 늘었다.
자산 격차를 심화시킨 것은 부동산이다. KB국민은행 주택매매가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 가격은 전년보다 14.97% 올랐다. 외환 위기 직후인 2002년(16.43%) 이래 최고 상승률이었다. 부동산값이 폭등하면서 전월세 임대료도 같이 올라 집 없는 사람들의 거주를 위한 부채나 지출도 늘어날 수밖에 없었다. 집값 상승으로 순자산이 늘어난 상위 10%도 오히려 힘들어졌다. 집값 상승으로 재산세가 올랐기 때문이다. 게다가 우리 집값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집값이 폭등해 현재 집을 팔아서 세금 내고 나면 현재 수준의 집을 구할 수도 없게 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정규직 일자리 숫자는 1천342만8천 명이었으나 지난해에는 1천292만7천 명으로 3.7% 줄었다. 반면 비정규직은 657만8천 명에서 806만6천 명으로 22.6% 증가했다. 특히 주 40시간 일한 사람을 취업자 1명으로 계산하는 전일제환산방식(FTE)을 적용하면, 작년 취업자는 2천651만2천 명으로 2017년 대비 209만2천 명 감소했다. 그중에서도 '경제 허리'로 불리는 3040세대의 전일제환산취업자 수는 지난 4년간 193만7천 명 줄었다. 정부가 '고용 현황이 개선되고 있다'고 발표하지만 세금 퍼부어 만든 '알바성 일자리'만 늘었고 양질의 일자리는 대폭 감소한 것이다.
집값 폭등, 전월셋값 폭등, 자산 격차 확대, 정규직 감소, 비정규직 증가 등 이 모든 실패는 문 정부의 '반시장-친이념 정책'과 오만에서 기인했다. 이렇게 임기 내내 국민을 못살게 해 놓고 표를 달라고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