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 별명의 전성시대

정태수 서예가
정태수 서예가

"이름은 천년이 지나도 남는다."

이는 송대 유학을 집대성한 주자(朱子)가 사람은 형체가 없어져도 이름은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다는 엄중함을 깨우친 말이다.

과거 우리 선조들은 본명 외에 일생 동안 시기에 따라 아명, 관명, 자, 호, 시호 등 다양한 이름으로 살았다.

이런 전통은 중국의 경우 당나라 이후,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이후에 생겼다. 그 이유는 2종 이상의 이름을 갖고자 한 풍속인 복명속(復名俗)과 본명 부르는 것을 피하는 실명경피속(實名敬避俗)에 의해 허물없이 부르기 위함이었다.

아명(兒名)은 관례를 올리기 전 아이 때 이름인데 질병으로 일찍 죽지 말고 무병장수하라는 기원을 담아 지었다. 남자가 15세에서 20세가 되면 갓(冠)을 썼는데 이를 관례라고 하며, 관례 뒤 아명은 버리고 성인이 된 징표로 관명을 사용했다.

자(字)는 본명을 존귀하다고 여겨서 장가 간 뒤 본명 대신 불렀고, 호(號)는 본명이나 자 대신에 부르는 이름으로 퇴계는 이황의 호이다. 시호(諡號)는 임금이 망자의 공덕을 찬양해 내린 이름인데 이순신의 시호가 충무이다.

현재는 본명 외에 다른 이름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문인이나 서화가들은 여전히 아호(雅號)를 짓고 부르는 전통을 잇고 있다.

예컨대 우리는 한석봉, 조지훈, 김영랑이란 아호는 잘 알지만 한호, 조동탁, 김윤식이란 이름은 생경한 편이다. 아호는 글자 그대로 본명 대신 우아하게 부르는 이름이다. 예술인이 아니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면 좋을 듯하다.

이런 전통과 다르게 서구문화가 도입되면서 본명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향이 생겼다. 예컨대 홍길동치과, 성춘향미용실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간판을 보면 본명을 중시하는 전통풍속과는 다른 문화를 일상에서 접하게 된다.

또한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새롭게 유행하는 이름이 별명(닉네임)이다. 별명은 가상공간에서 본명 대신 널리 사용된다. 별명의 문제는 '익명'의 가면 뒤에 숨어 악플을 만들어내는데 있다. 실명으로는 쓸 수 없는 비속어나 욕설 댓글로 가상공간을 오염시켜 인간관계를 단절시키기도 한다.

우리 시대 본명이 익명으로 오염되고 있다. 이제 본명보다 별명이 유행하는 별명의 전성시대가 됐다. 이런 시대에 몸담고 있는 우리는 현실이든 가상공간이든 고상한 뜻을 담은 아호를 느긋이 불러주는 문화가 살아나길 기대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