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분양 주택 5천 가구 넘었다…경북도, "주택 공급 속도조절"

1월 말 기준 미분양 아파트 5천228가구 달해…지난해 11월 1천598가구에서 급증
경북도, "부동산 조정대상지역 해제 건의 및 주택공급 속도조절"

강력한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절벽 현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28일 서울의 한 공동주택에 분양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이날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총 4만1천709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0% 감소했다. 전달(5만3천774건)과 비교하면 22.4% 줄었다. 연합뉴스
강력한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절벽 현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28일 서울의 한 공동주택에 분양 안내문이 붙어 있다. 이날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총 4만1천709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54.0% 감소했다. 전달(5만3천774건)과 비교하면 22.4% 줄었다. 연합뉴스

경상북도가 최근 미분양 아파트의 급격한 증가로 불안정한 도내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공급 물량 조절에 나선다. 도내 미분양 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포항지역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부동산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지속해서 추진할 방침이다.

3일 경북도에 따르면 올해 1월 말 기준 도내 미분양 아파트는 총 5천227가구로 지난해 11월 기준 1천598가구에서 3천629가구나 늘었다. 특히 전체 미분양 물량 중 포항이 2천943가구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 외 김천 811가구, 경주 509가구, 구미 486가구, 안동 219가구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도내 전반적인 미분양의 주된 원인은 지속적인 공급 증가 속에서 정부의 대출규제, 금리인상 등으로 시장이 얼어붙은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포항의 경우 남구가 부동산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돼 있는 게 지역 내 거래 침체의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실수요자 중심으로 공급된 포항 펜타시티에서 대규모 미분양이 잇따른 것도 원인이 됐다.

경북도는 포항시와 함께 국토교통부 담당 부서를 방문하는 등 4차례나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건의했지만 관련 기준에 맞지 않아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김천은 혁신도시 내 미분양 물량이 오래도록 해소되지 남아있는 상태다.

경북도는 포항시 등 다수 미분양 물량이 쌓인 시군과 함께 향후 주택 공급 물량 조절에 나설 예정이다. 4일에는 시군과 영상회의를 열고 미분양 방지와 해소 대책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주택 관련 정책은 중앙 정부에 달린 게 많아 지방자치단체가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은 게 사실"이라면서도 "공급 조절 등 할 수 있는 모든 대책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