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경연 "25년 후 국내 핵심노동인구 비중 OECD 국가 중 최하위"

"저출생·고령화로 25∼34세 인구 비중 2060년 26.9%까지 감소"

2021년 OCED 국가 핵심 노동인구 고용률. 한경연 제공
2021년 OCED 국가 핵심 노동인구 고용률. 한경연 제공

국내 핵심 노동인구(25~54세)가 25년 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에 따르면 OECD 통계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서 핵심 노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45.3%로 OECD 38개국 중 두 번째로 높다.

그러나 2047년 우리나라의 핵심 노동인구 비중은 31.3%로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감소한 뒤 2060년에는 26.9%까지 줄어들며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20%대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경연은 핵심노동인구 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 저출산·고령화를 지목했다.

지난 10년간 OECD 국가들의 핵심노동인구는 연평균 0.2% 증가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0.5%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지난해 0.81명으로,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추세대로면 저출산에 따른 핵심노동인구 감소가 앞으로 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핵심 노동인구의 고용률 역시 낮은 편이었다. 우리나라의 핵심 노동인구 고용률은 75.2%로, 관련 데이터가 없는 영국과 터키를 제외한 OECD 36개국 중 29위에 머물렀다.

주요 국가 중에서는 미국이 77.2%로 OECD 평균(77.3%)에 미치지 못했고 일본(85.9%)과 독일(84.3%), 프랑스(81.9%)는 모두 우리나라보다 크게 높았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핵심 노동인구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성을 높여 첫 취업 연령대를 낮추고, 시간제 근로제와 일·가정 양립 정책을 확대해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를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