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OECD 1월 물가 상승률 31년 만에 최고…한국은 38개국 중 29위

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OECD 38개 회원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2%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OECD 38개 회원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2%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이 근 31년 만에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로 압박을 받고 있다.

7일 OECD에 따르면 OECD 38개 회원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7.2%를 기록했다. 이는 한 달 전인 12월의 6.6%보다 0.6%포인트 오른 수치로, 1991년 2월 이후 근 3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주요 20개국(G20)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5%, 주요 7개국(G7)의 물가 상승률은 5.8%를 기록했다.

고물가로 가장 고전하는 터키의 경우 지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무려 48.7%에 달했다. 만성적인 고물가에 시달려온 데다, 올해 1월 최저임금을 50% 인상하고 가스·전기·도로 통행료 등을 줄줄이 올린 것이 결정적이었다.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7.5%에 달했다. 자동차와 에너지, 식료품 가격이 전방위로 상승하면서 1982년 2월 이후 40년 만에 가장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영국과 독일의 1월 소비자물가 역시 각각 4.9%를 기록했다.

전 세계의 소비자물가가 이처럼 몸살을 앓는 가장 큰 원인은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가격 상승을 꼽을 수 있다. OECD 38개 회원국의 1월 에너지 가격은 지난해 동월 대비 26.2% 급상승했다.

한국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로 집계됐다. OECD 평균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으로 38개 회원국 중 29위다.

3월부터는 우크라이나 사태 여파로 전 세계가 겪는 고물가 현상이 더욱 심화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2월 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치솟은 국제유가와 천연가스, 곡물 가격이 시차를 두고 생활물가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