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해간 경북에서 산불이 나면 대형산불로 비화하는 사례가 잦아 이를 막을 종합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산불이 난 뒤 신속히 진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화수림대 조성 등 근본적인 예방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7일 경북도 등 산림당국에 따르면 지난 2020년 4월 안동에서 1천944㏊의 산림이 소실되는 대형산불이 났다. 당시만 해도 경북에서 전례를 찾아보기 힘든 피해 규모여서 '향후 이 정도 산불이 다시 나긴 어려울 것'이라는 반응이 많았다.
이듬해에도 안동과 예천에서 각각 307㏊, 112㏊의 산림이 소실되는 100㏊ 이상 피해 면적의 대형산불이 잇따라 발생했다. 그럼에도 '전 해 안동산불과 비교하면 적은 규모가 아니냐'는 인식이 강했다.
하지만 2022년, 이제는 더이상 경북지역 산불 대형화를 가볍게 지켜보기 어려운 여건이 됐다. 영덕, 고령에서 연속으로 400㏊ 이상 피해 규모의 대형산불이 나더니 울진에서 20여년 만의 최대 피해를 내고 있는 초대형 산불이 발생한 것이다.
과거 '대형산불은 곧 강원도'라는 공식이 깨지고 '경북도 산불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등식이 본격화하게 됐다는 반응까지 나온다.
경북은 애초부터 화재에 취약한 침엽수림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많고 동해안을 품은 지형 탓에 봄철 대표 강풍으로 분류되는 '양간지풍' 세력에 노출되기 쉬운 구조를 갖고 있다. 임목 축적량 역시 전국 평균보다 높아 일단 산불이 대형화하면 쉽게 진화하기 어려운 조건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경북의 산불 대형화를 막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우선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 등 침엽수림으로 조성된 산림을 대상으로 불에 강한 내화수종을 심어 '내화수림대'를 조성이 필요하다고 본다. 산불 예상 진행 방향, 주요 시설물과 도로, 임도, 집단마을 등을 살펴 띠 모양으로 내화수림 숲을 조성하거나 기존 숲을 개량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산불진화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꼽히는 임도망을 확충해 산불의 대형화를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특히 산불의 3대 요소인 산소, 온도, 연료 가운데 선제적 '연료 제거'가 확산 방지의 주요 요소라는 분석이 나온다. 빽빽한 산림을 대상으로 적절한 벌채와 간벌을 시행해 불에 탈 수 있는 물질을 줄이는 게 산불의 급격한 대형화를 막는 주요 대책이 된다는 것이다.
산림당국 한 관계자는 "산불 진화 현장에 나가보면 낙엽은 수십㎝ 쌓여있고 숲이 우거져 '과연 끌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자주 든다"면서 "탄소중립 등으로 산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산불 대형화를 막기 위한 적절한 벌채나 간벌, 수종 개량도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민둥산이던 시절을 생각해 산림을 절대 손을 대면 안 되는 공간으로 여겨서는 곤란하다"면서 "이제는 적절한 관리와 활용으로 산불도 막고 산업화 할 수 있는 자원으로 산림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