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외국인, 2월 한국 주식 2조2천억원어치 팔아

우크라 사태, 주요국 긴축 통화 정책, IPO 효과 소멸 탓

주식 시장. 연합뉴스
주식 시장. 연합뉴스

지난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로 투자 심리가 위축, 국내 증권 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2조원 이상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1일 발표한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2월 외국인의 국내 주식 투자자금은 18억6천만달러 순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를 2월 말 원/달러 환율(1천202.3원)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2조2천363억원 규모에 이른다.

지난해 말 외국인의 주식 투자자금은 순유입세였다. 11월 25억2천만달러, 12월 36억9천만달러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19 사태에도 유입 쪽으로 흐름이 기울었다. 올 초 세계 주식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낼 때도 국내는 순유입세를 유지했다.

1월 주식시장이 휘청인 건 주요국이 긴축 통화 정책을 시행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무력 충돌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 그럼에도 국내는 1월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공개(IPO)로 사상 최대 증거금이 몰린 덕분에 순유입세를 나타낼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지난달 외국인의 채권 투자자금은 34억9천만달러 순유입됐다. 지난해 1월부터 14개월 연속 순유입세. 이는 역대 최장 기록이다. 주식에선 유출 흐름을 보였으나 채권에서 유입세를 보이며 주식과 채권을 더한 전체 외국인 증권 투자자금은 16억4천만달러 순유입된 것으로 집계됐다.

결국 지난달 국내 증시에 들어온 자금이 빠져나간 규모보다 컸다는 의미. 하지만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하긴 어렵다. 49억7천억달러가 순유입됐던 1월과 비교하면 유입 규모가 크게 줄었다.

또 주식 시장에서 빠진 자금이 채권 시장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긴 어렵다는 분석이다. 채권 자금 경우 국내 채권 수요가 공공자금인 해외 중앙은행, 국부펀드, 국제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어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외국인 주식 투자자금이 유출된 건 우크라이나 사태와 주요국의 긴축 통화 정책 여파에다 1월 대규모 공모주 효과가 사라진 게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